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직장 생활, 시작부터 막막하신가요? 혹시 지금 내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고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오늘은 근로계약부터 퇴직금까지, 꼭 알아야 할 노동법 필수 지식을 쉽고 간략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근로계약, 제대로 알고 있나요?
근로계약은 내가 회사에 일을 제공하고, 회사는 그 대가로 나에게 임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4호).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법적 효력이 있는 중요한 계약이죠!
2. 근로계약서, 꼼꼼히 확인하세요!
근로계약을 맺을 때는 반드시 서면으로 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교부받아야 합니다. 계약서에는 다음 내용이 꼭 포함되어야 해요 (근로기준법 제17조제1항 및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8조):
계약 내용이 바뀌는 경우에도 반드시 서면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3. 청소년 근로, 보호받아야 할 권리!
4. 근로자, 당연한 권리를 누리세요!
5. 퇴직금, 내 노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
6. 외국인 근로자 채용, 법을 지켜야 합니다!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려면 먼저 내국인 구인 노력을 해야 하고, 그 후에도 사람을 구하지 못하면 고용허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 제8조제1항). 외국인 근로자도 내국인과 똑같은 법적 보호를 받는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 글이 여러분의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생활법률
근로계약은 근로 제공과 임금 지급에 대한 약속이며, 근로자 보호를 위해 근로기준법 준수가 필수적이고, 특히 기간제 근로자는 계약서에 명시된 근로 조건(계약기간, 근로/휴게시간, 임금, 휴일/휴가, 취업장소/업무내용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임금은 정기적, 계속적으로 지급되는 모든 금품을 의미한다.
생활법률
헌법과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에게 근로권,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의 기본권을 보장하며, 임금, 근로시간, 휴일·휴가, 해고, 최저임금, 퇴직금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한다.
생활법률
근로관계 종료 시 기간만료, 해고(정당한 이유 필요), 퇴직금(14일 이내 지급), 실업급여 등 관련 법적 권리와 절차를 알아야 한다.
생활법률
청소년 근로자는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하고, 임금·근로시간·휴일 등 필수 항목을 확인해야 하며, 법적 기준보다 불리한 조건이나 부모님 대리 계약은 무효이며, 만 19세 미만은 부모님 동의가 필요하다.
생활법률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모든 단시간 근로는 근로계약서 작성이 필수이며, 특히 근로기간, 근로시간/휴게, 임금, 휴일/휴가, 장소/업무 내용 등을 명시해야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알바생은 최저임금(2024년 시급 9,860원) 이상의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도 받을 수 있고, 퇴직 시 14일 이내에 모든 임금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