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알바생도 쉬어야죠! 청소년 근로자의 휴게시간, 휴일, 연차휴가 완벽 정리!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청소년 여러분, 열심히 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쉴 권리도 잊지 마세요! 법으로 보장된 휴게시간, 휴일, 그리고 연차휴가까지 꼼꼼하게 알아두고 당당하게 요구해야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습니다. 지금부터 청소년 근로자의 꿀같은 휴식 시간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잠깐 쉬어 갈까요? 휴게시간

4시간 일하면 최소 30분, 8시간 일하면 최소 1시간의 휴게시간은 필수! (근로기준법 제54조제1항) 이 시간은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요. 점심을 먹거나, 잠깐 쉬거나, 친구와 연락하거나, 무엇을 하든 여러분 마음대로! (근로기준법 제54조제2항) 만약 사장님이 휴게시간을 안 주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110조제1호)

2. 주말엔 쉬자! 유급휴일

꼬박꼬박 출근하고 4주 평균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했다면? 일주일에 평균 하루는 유급휴일을 받을 수 있어요! (근로기준법 제55조제1항, 제18조제3항 및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 유급휴일이니까 쉬면서 돈도 받는다는 사실! 이것도 안 지켜주는 사장님은 역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110조제1호)

3. 푹 쉬고 재충전! 연차 유급휴가

5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곳에서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 및 제11조제1항) 휴가 날짜는 여러분이 정하고, 그 기간 동안 통상임금이나 평균임금을 받아야 해요. (근로기준법 제60조제5항 본문) 사장님이 사업 운영에 지장이 있다며 휴가 날짜를 바꿔달라고 할 수도 있지만, 원칙적으로는 여러분이 원하는 날짜에 쉴 수 있어요. (근로기준법 제60조제5항 단서) 1년 안에 휴가를 못 쓰면 사라지지만, 사장님 때문에 못 쓴 거라면 사라지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제7항) 연차 유급휴가를 안 주는 사장님? 역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 (근로기준법 제110조제1호)

4. 휴게·휴일 보장 예외는?

농업, 임업, 어업, 수산업처럼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일하는 경우, 감시나 단속적인 업무를 하는 경우, 관리·감독 업무나 기밀을 다루는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휴게시간과 휴일 규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3조,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4조, 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10조제4항)

자, 이제 청소년 근로자의 휴식 권리에 대해 잘 아시겠죠? 정당한 권리를 알고 당당하게 요구하는 여러분이 되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알바생도 쉴 권리가 있다! 단시간 근로자의 휴일과 휴가, 취업규칙 완전 정복!

단시간 근로자도 주 1회 유급휴일, 연차 유급휴가, 생리휴가, 산전후휴가 등의 권리가 있으며, 초단시간 근로자(주 15시간 미만)와 4인 이하 사업장 근로자는 일부 예외가 적용되고, 취업규칙은 별도 또는 통상근로자 규칙을 준용하되 차별은 금지된다.

#단시간 근로자#휴일#휴가#유급휴일

생활법률

만 18세 미만 알바생, 괜찮을까요? 🙅‍♂️🙅‍♀️ 알바생 근로시간 제한 완벽 정리!

18세 미만 청소년은 원칙적으로 하루 7시간, 주 35시간(연장근로 시 8시간, 40시간) 근무 가능하며, 밤 10시~아침 6시, 휴일 근무는 고용노동부 인가 필요하고, 농·임·축·수산업 등 일부 업종은 예외다.

#18세 미만#알바#근로시간#7시간

생활법률

건설 일용직, 나의 권리는 무엇일까? (휴게시간, 휴일, 연차휴가)

건설 일용직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4시간 근무 시 30분, 8시간 근무 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과 주휴일, 공휴일(규모별 적용시기 상이), 연차 유급휴가(1년 미만/80% 미만 출근 시 월 1일)를 보장받으며, 사용자가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처벌받는다.

#건설 일용직#휴게시간#휴일#휴가

생활법률

워라밸 필수템! 휴게시간, 휴일, 휴가, 육아휴직&근로시간 단축 완벽 정리!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근로자는 휴게시간(4시간 30분, 8시간 1시간), 주휴일(주 1회), 근로자의 날(5/1), 연차(최대 15일), 육아휴직(최대 1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최대 1년, 주 15~35시간)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다.

#워라밸#근로기준법#휴게시간#휴일

생활법률

워라밸 사수! 꼭 알아야 할 노동법 상식: 휴게, 휴가, 초과근무, 육아휴직/근로시간 단축

직장인의 필수 노동법 정보: 휴게시간(4시간 30분, 8시간 1시간 보장), 주휴일(주 1회 유급), 연차(1년 80% 출근 시 15일),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50~100% 가산), 육아휴직(최대 1년, 조건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최대 1년, 주 15~35시간)을 보장받고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음.

#휴게시간#주휴일#연차유급휴가#연장근로

생활법률

시간선택제 근로자, 내 권리는 뭘까? ⏰ (휴게시간, 주휴일, 연차, 생리휴가 등)

시간선택제 근로자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휴게시간, 주휴일(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근로자의 날, 연차 유급휴가(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생리휴가, 산전후휴가 등을 보장받는다.

#시간선택제#근로기준법#휴게시간#주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