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0.21

민사판례

약속어음, 그냥 막 넘길 수 있나요? "지시금지"에 대해 알아보자!

혹시 약속어음이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흔히 '어음'이라고 부르는 이 증서는,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약속을 담은 문서입니다. 이 어음은 다른 사람에게 넘겨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배서라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이 어음은 다른 사람에게 넘기지 마세요!"라고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이 부분에 대해 오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핵심은 **"지시금지"**입니다. 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지 못하게 하려면, 어음에 "지시금지"라는 문구를 명확하게 적어야 합니다. 단순히 다른 목적으로 적은 메모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예를 들어, "견질용"이라고 적었다고 해서 무조건 지시금지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왜 이렇게 까다롭게 규정되어 있을까요? 약속어음은 원칙적으로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양도를 금지하고 싶다면,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명확하게 의사를 표시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음을 받은 사람이 그 사실을 모르고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릴 수도 있겠죠? 이런 혼란을 막기 위해 "지시금지"라는 명확한 표시가 필요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를 살펴보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어음법 제11조 제2항: 어음에 지급인 외의 특정인에게 지급할 것을 위탁하는 문구가 기재되지 아니하고 “지시금지”의 문구가 기재된 경우에는 어음금의 청구는 지명채권의 양도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서만 할 수 있다.

  • 대법원 1990.5.22. 선고 88다카27676 판결: 배서금지어음이 되려면 어음면상으로 보아 발행인이 배서를 금지하여 발행한 것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지시금지" 또는 동일한 의의가 있는 문언이 명료하게 기재되어야 한다.

  • 대법원 1993.11.12. 선고 93다39102 판결: 약속어음 이면의 배서란 맨 끝부분에 “견질용”이라고 기재된 것만으로는 지시금지어음으로 볼 수 없다.

이처럼 약속어음을 둘러싼 법적인 내용은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시금지"라는 핵심 키워드를 기억하고, 관련 법조항과 판례를 참고한다면 어음 거래를 더욱 안전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배서금지어음, 권리는 어떻게 넘어갈까요?

지시금지어음도 채권양도로 권리 이전이 가능하며, 채무자 동의 하에 양도되었다면 보증인에게 별도 통지 없이 보증책임을 물을 수 있다.

#배서금지어음#권리이전#채권양도#보증책임

민사판례

어음에 "지시금지" 도장 찍었는데, 효력 있을까? 🧐

어음에 "지시금지"라고 써 놓으면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없게 되는데, 이 문구를 너무 희미하게 찍어서 일반적인 주의로는 알아보기 어려우면 "지시금지"의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어음#지시금지#희미#효력

민사판례

약속어음에 "보관용"이라고 쓰면 양도 못 할까요?

약속어음에 "보관용"이라고 적혀있더라도, 법에 명시된 "지시금지"라는 문구가 없다면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있습니다.

#약속어음#보관용#양도#지시금지

상담사례

약속어음, 이름만 적혀있다고 내 돈?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약속어음에서 돈을 받을 권리는 어음에 적힌 이름(피배서인)을 따르므로, 돈을 빌려줄 때 본인 이름이 피배서인으로 기재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약속어음#배서#피배서인#유가증권

민사판례

약속어음, 누구에게 권리가 있는 걸까요?

약속어음에 배서할 때 특정인을 받는 사람으로 지정했으면, 그 사람이 다시 배서해야만 다음 사람에게 권리가 넘어갑니다. 단순히 배서란에 이름만 쓴다고 권리가 넘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약속어음#배서#권리이전#기명식배서

상담사례

어음에 "배서금지"라고 써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

어음에 인쇄된 지시문구가 있더라도 "배서금지"라고 명확히 쓰여 있으면 배서가 금지되지만, "배서금지"가 불명확하면 배서가 가능할 수 있다.

#어음#배서금지#지시금지#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