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피고인이 법정에 출석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하며, 피고인 불출석 시 재판 진행 절차와 공시송달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약식명령에 불복하여 정식재판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에서 여러 차례 소환장을 보냈음에도 피고인은 법정에 출석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법원은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고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이에 피고인은 항소했지만, 항소심에서도 패소하여 대법원까지 사건이 올라오게 되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피고인이 출석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판을 진행할 수 있는 요건과 공시송달의 적법성이었습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법리에 따라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없이 재판할 수 있는 경우: 형사소송법 제455조 제3항, 제276조에 따라 원칙적으로 피고인이 출석해야 재판을 열 수 있습니다. 다만, 형사소송법 제458조 제2항, 제365조에 따라 피고인이 적법한 소환을 받았음에도 정당한 이유 없이 두 번 연속 공판기일에 출석하지 않으면 피고인 없이 재판할 수 있습니다.
공시송달의 요건: 형사소송법 제63조 제1항은 피고인의 주거, 사무소, 현재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만 공시송달을 허용합니다. 피고인의 연락처를 알고 있는 경우, 전화 등으로 연락하여 송달받을 장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 없이 바로 공시송달을 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인의 휴대전화번호를 알고 있었음에도 연락을 시도하지 않고 바로 공시송달을 통해 소환했습니다. 또한, 공시송달 후 첫 번째 공판기일에 피고인이 출석하지 않자 바로 재판을 진행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절차가 형사소송법 제63조 제1항, 제458조 제2항, 제365조에 위배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참조조문:
참조판례:
이 판례는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을 위해 법원은 정해진 절차를 엄격하게 따라야 합니다.
형사판례
간단한 범죄로 약식명령(서류 재판)을 받은 사람이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법원이 여러 번 연락했음에도 소재 파악이 안 되면 6개월을 기다리지 않고도 공시송달(법원 게시판 공고) 후 피고인 없이 재판할 수 있다.
형사판례
항소심 재판에서 피고인이 출석하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재판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피고인에게 두 번 연속 출석하라고 제대로 통지했는데도 나오지 않은 경우에만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두 번째 출석 통지를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판 진행이 잘못되었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피고인이 이사 후 주소 변경을 법원에 신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예전 주소로만 소환장을 보내 송달에 실패하고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공고하는 방식)로 재판을 진행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새로운 주소로 직접 찾아가거나 야간, 휴일에 송달하는 등의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다는 것입니다.
형사판례
병으로 입원 중이던 피고인에게 연락을 시도하지 않고, 소재를 알 수 없다고 판단하여 공시송달 후 재판을 진행하고 선고한 것은 위법하다.
형사판례
법원은 피고인의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공시송달로 재판을 진행해서는 안 됩니다. 피고인의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연락을 시도하는 등 소재 파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피고인의 직장과 연락처를 알고 있었음에도 확인하지 않고 바로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붙이는 것)로 처리하여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