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명령을 받았는데, 정식재판을 청구할 기회를 놓쳤다면? 법원에 정식재판청구권 회복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회복 결정이 확정된 후에도 다시 그 결정 자체를 문제 삼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벌금 100만 원의 약식명령을 받았지만,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 명령서를 받지 못했습니다. 뒤늦게 벌금을 납부하고 정식재판청구권 회복을 신청하여 법원으로부터 회복 결정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법원은 피고인이 약식명령 송달 사실을 안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정식재판청구권 회복을 신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식재판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 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심은 확정된 회복 결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복 청구 기간 도과를 이유로 정식재판 청구를 기각했기 때문에, 대법원은 이를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이 판례는 정식재판청구권 회복 결정의 효력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약식명령에 불복하고 정식재판을 받을 권리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형사판례
회사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아 약식명령을 송달받지 못했더라도, 소송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스스로 확인할 의무가 있으므로 정식재판 청구권 회복 사유가 되지 않는다.
형사판례
약식명령에 불복하여 정식재판을 청구하려면 정해진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기간이 지나서 청구하면 법원은 재판 없이 청구를 기각합니다.
생활법률
약식명령에 불만족 시 7일 이내 서면으로 정식재판 청구 가능하며, 정식재판에서 형량이 더 무거워지지 않는 형종상향 금지 원칙이 적용된다.
형사판례
피고인의 사기 혐의에 대해 약식명령이 확정되었는데, 이후 이 약식명령이 취소되면서, 약식명령을 근거로 면소 판결을 내렸던 원심 판결도 파기되었습니다.
형사판례
벌금형을 받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법원이 벌금보다 무거운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형사판례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하여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경우, 재심은 확정판결을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실수로 약식명령에 대해 재심을 청구하더라도 법원은 재심 청구인의 의도를 파악하여 판단해야 하지만, 만약 약식명령에 대한 재심개시결정이 확정된 경우에는 더 이상 확정판결을 대상으로 재심을 진행할 수 없고, 심판 대상이 없어져 재판을 할 수 없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