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를 생각해 보죠. 단순히 같은 장소에 있었다거나, 범죄 사실을 알고도 모른 척했다면 처벌받을까요? 오늘은 여러 사람이 범죄에 관여했을 때, 어떤 경우에 '공동정범'으로 처벌받는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휴대전화 개발 과정에서 경쟁사의 소스 프로그램을 도용한 사건입니다. 검찰은 피고인 1, 2가 다른 개발자들(원심공동피고인 2, 3)과 함께 소스 프로그램을 훔치기로 미리 공모했다(이를 '사전 공모'라고 합니다)고 주장했고, 설령 미리 공모하지 않았더라도 다른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훔친 사실을 알고 난 후에는 함께 범죄를 저지른 것과 같다(이를 '승계적 공동정범'이라고 합니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검찰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피고인들이 다른 개발자들과 미리 범행을 공모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른 개발자의 진술은 일관되지 않았고, 다른 증거와도 맞지 않았습니다. 이메일 증거만으로는 공모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다른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훔친 사실을 알고 난 후에도 공동정범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범죄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함께 범행을 하겠다는 의사와 실제로 범행에 기여한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는 그러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 역시 원심(2심)의 판단이 옳다고 보았습니다. 공동정범이 되려면 **"공동가공의 의사"**와 **"공동의사에 기한 기능적 행위지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쉽게 말해, 함께 범행하기로 마음먹고, 실제로 각자의 역할을 통해 범행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그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본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형법 제30조 (공동정범)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에는 각자를 그 죄의 정범으로 처벌한다.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8도1274 판결
대법원 2013. 1. 10. 선고 2012도12732 판결
결론
이 판례는 여러 사람이 범죄에 관련되었을 때, 단순히 범죄 사실을 알고 있거나 방관한 것만으로는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함께 범행을 저지르기로 마음먹고 실제로 범행에 기여했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범죄를 함께 계획하고 그중 일부만 실행에 옮겼더라도, 계획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범죄를 저지른 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옆에서 구경만 한 것이 아니라, 범죄 실행에 대한 공동의 의사를 가지고 함께 계획했다면 실행하지 않은 사람도 책임을 져야 합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직접 모의하지 않았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서로 뜻이 통하여 범죄를 저지르기로 했다면, 범행을 직접 실행하지 않은 사람도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습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범죄를 저지를 때, 사전에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았더라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함께 범행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여러 명이 공모하여 저작권 침해 행위를 한 경우, 단순히 회사에 소속되어 있거나 주변 업무를 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동정범으로서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범죄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와 '지배/장악력'이 있어야 공동으로 책임을 질 수 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짜고 다단계 방식으로 사기를 친 사건과 마약을 투약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공모(함께 범죄를 꾸미는 것)는 꼭 직접 만나서 모의하지 않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의사가 통하면 성립한다는 점과, 범죄의 특성상 피해자를 일일이 특정하기 어렵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마음을 먹은 경우(공모), 직접 피해자를 살해하지 않았더라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