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1.16

민사판례

영업비밀 침해소송과 비밀유지명령, 그 미묘한 관계

영업비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자산이죠. 누군가 내 영업비밀을 훔쳐 쓴다면 당연히 소송을 생각할 겁니다. 그런데 소송 과정에서 나의 영업비밀이 또다시 유출될까 봐 걱정된다면? 비밀유지명령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는 판례가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송 중 영업비밀 보호, 비밀유지명령이란?

소송 중에 상대방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업비밀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이 바로 비밀유지명령입니다.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 제14조의4 제1항에 따라 소송 관계자들에게 영업비밀을 발설하지 못하게 할 수 있죠.

이미 유출된 영업비밀, 비밀유지명령으로 지킬 수 있을까?

그런데 이미 상대방이 내 영업비밀을 알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대법원 2014. 9. 4. 자 2014마1056 결정)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합니다.

핵심은 부정경쟁방지법 제14조의4 제1항 단서입니다. 이 조항은 "소송 전에 이미 상대방이 영업비밀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비밀유지명령을 내릴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소송을 통해 새롭게 유출될 위험을 막는 것이 비밀유지명령의 목적인데, 이미 유출된 정보에 대해서는 그 목적이 없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 원고는 자사 직원이 경쟁사에 영업비밀인 작업지시서를 유출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리고 해당 작업지시서에 대해 비밀유지명령을 신청했죠. 하지만 대법원은 이미 경쟁사가 해당 정보를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원고의 소송 내용과 비밀유지명령 신청은 모순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미 유출되었다고 주장하는 영업비밀에 대해 비밀유지명령을 신청하는 것은 법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비밀유지명령은 소송 과정에서의 추가적인 유출을 막기 위한 제도이지, 이미 유출된 영업비밀을 되돌릴 수 있는 마법 지팡이가 아닙니다. 영업비밀 보호, 소송 전부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영업비밀 보호기간과 침해금지청구권에 대한 이야기

영업비밀 보호기간이 지나면 영업비밀 침해금지청구권도 사라진다. 보호기간은 기술의 난이도, 다른 경쟁자가 합법적으로 같은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정한다.

#영업비밀#보호기간#침해금지청구권#기술난이도

민사판례

소송기록 속 내 회사 비밀,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 문서송부촉탁과 영업비밀 보호

아직 확정되지 않은 소송기록에 있는 영업비밀을 제3자가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법원이 보호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계약서에 비밀유지 의무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면, 그 계약서는 영업비밀로 인정되어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영업비밀#소송기록#열람제한#대법원

민사판례

영업비밀 보호, 어디까지? 기간과 범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퇴직한 직원이 회사의 영업비밀을 이용해 경쟁하는 것을 막기 위한 '영업비밀 침해금지' 조치는 얼마나 오래 유지될 수 있을까? 이 판례는 침해금지 기간을 정하는 기준과, 한 번 정해진 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다룹니다.

#영업비밀#침해금지#기간연장#부정경쟁방지

형사판례

영업비밀과 공모, 그 의미를 파헤치다

퇴사한 직원들이 전 직장의 영업비밀을 이용하여 유사 제품을 개발한 사건에서, 해당 정보가 영업비밀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공모 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정보의 비밀성, 경제적 가치, 비밀 유지 노력 등을 고려하여 영업비밀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관련자들의 행적과 정황을 종합하여 공모 관계도 인정했습니다.

#영업비밀#퇴사#공모#부정경쟁방지법

민사판례

내 기술, 함부로 쓰지 마세요! 영업비밀 침해와 손해배상

이 판결은 경쟁사가 영업비밀을 침해했을 때, 그 침해행위를 금지할 수 있는 기간(보호기간)과 침해에 해당하는 '사용'의 의미, 그리고 침해로 얻은 이익 중 영업비밀이 기여한 비율(기여율)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재판부는 이러한 사항들을 판단할 때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구체적인 판단은 사실심 법원의 재량에 속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영업비밀#보호기간#사용#기여율

형사판례

영업비밀, 그냥 숨기면 다 되는 거 아니에요!

주류회사가 도매상들의 거래처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해 왔는데, 이 정보가 영업비밀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주류회사 직원들이 이 정보를 이용한 것이 영업비밀 누설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해당 정보가 상당한 노력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었다고 보기 어려워 영업비밀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주류 도매상#거래처 정보#영업비밀#비밀 유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