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예비군? 상근예비역? 승선근무예비역? 헷갈리는 예비역 제도 완벽 정리!

군대 이야기만 나오면 머리 아픈 분들 많으시죠? 특히 '예비역'이라는 단어는 현역, 보충역 등과 함께 늘 헷갈리는 단골손님입니다. 오늘은 예비역 제도, 특히 상근예비역과 승선근무예비역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예비역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현역 복무를 마친 사람을 예비역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법적으로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병역법 제5조 제1항 제2호와 제2조 제1항 제8호·제9호에 따르면, 현역 복무를 마친 사람 외에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상근예비역과 승선근무예비역도 예비역에 포함됩니다.

2. 상근예비역 vs. 승선근무예비역: 뭐가 다를까?

  • 상근예비역: 현역병으로 입영하여 일정 기간(약 1년) 복무 후 예비역으로 편입됩니다. 이후 거주지 근처에서 지역 방위 및 관련 업무를 지원하며 1년 6개월 이내의 기간 동안 소집되어 복무합니다. 즉, 집에서 출퇴근하며 군 복무를 하는 형태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승선근무예비역: 항해사 또는 기관사 자격을 가진 사람 중 전시, 사변 등 비상시에 물자 수송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소집되어 배에서 근무하는 예비역입니다. 평소에는 민간 선박에서 근무하지만, 비상시에는 국가의 부름을 받아 군 관련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핵심 포인트! 상근예비역과 승선근무예비역은 '예비역'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일반적인 예비역(현역 복무를 마친 사람)과는 복무 형태가 다릅니다. 아직 현역 복무 기간이 남아있다는 것이죠.

3. 상근예비역과 승선근무예비역 제도, 왜 생겼을까?

  • 상근예비역: 1994년 병역 의무의 형평성 제고를 위해 기존의 방위소집 제도를 대체하여 도입되었습니다. (병역법 법률 제4685호, 1993. 12. 31. 전부개정, 1994. 1. 1. 시행) 지역 방위를 강화하면서도 현역병 복무 기간 단축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 승선근무예비역: 2007년 병역 제도 개선 방안에 따라 기존에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되었던 승선 인력이 더 이상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될 수 없게 되면서, 해양 인적 자원 확보 및 비상시 활용을 위해 2007년 7월 도입되었습니다. (병역법 법률 제8549호, 2007. 7. 27. 일부개정, 2007. 10. 28. 시행)

4. 병역의 종류와 복무 형태

병역은 크게 현역, 예비역, 보충역으로 나뉘며, 각각 다양한 복무 형태가 존재합니다. (병역법 제5조 제1항 참고) 상근예비역과 승선근무예비역은 '예비역'에 속하지만, 앞서 설명했듯이 아직 현역 복무 중인 상태입니다.

5. 더 알아보기

더 자세한 내용은 병무청 웹사이트(www.mma.go.kr) 또는 관련 법령(병역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통해 예비역, 상근예비역, 승선근무예비역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었기를 바랍니다. 복잡한 병역 제도, 이제 쉽게 이해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우리 동네 지킴이, 상근예비역! 누가 될 수 있을까?

현역병과 동일한 기초군사훈련 후 집에서 출퇴근하며 향토방위 업무를 수행하는 상근예비역은 자녀 양육, 생계 곤란, 6개월 미만 수형 등 우선선발 대상과 소요 지역 거주자를 일반선발하며, 미달 시 추가 선발합니다.

#상근예비역#선발기준#징집#현역병

생활법률

현역? 보충역? 헷갈리는 병역 종류,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민국 남성의 병역 의무 중 하나인 보충역은 현역 복무가 가능하지만 병력 수급 상황에 따라 사회복무요원, 산업기능요원 등으로 대체 복무하는 제도이다.

#보충역#병역#현역#예비역

생활법률

상근예비역, 꼭 알아야 할 군 복무 규칙과 징계!

상근예비역은 근무태만, 명령 불복종, 폭행, 모욕, 시설 손괴, 정치참여 금지 등 준수사항 위반시 강등, 군기교육, 감봉, 휴가단축, 근신, 견책 등의 징계를 받을 수 있으며, 군기 확립을 위한 군기훈련(구 영창)을 받을 수 있다.

#상근예비역#준수사항#징계#근무태만

생활법률

승선근무예비역, 바다 위에서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승선근무예비역은 3년간 500톤/100톤 이상 선박에서 근무하며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제도로, 회사 이동 및 특정 사유에 따른 예외가 존재하며 겸직은 금지되고, 부상/질병 시 병역 처분 변경/면제 신청이 가능하다.

#승선근무예비역#병역의무#해운업#수산업

생활법률

현역, 그게 뭔데? 군대 가는 사람들 이야기!

이 사이트는 병역법상 '현역'(징집/지원 입영 병사 및 장교, 준사관, 부사관, 군간부후보생)에 대한 정보와 함께 입영 전, 여군, 보충역, 대체역, 예비군/민방위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역#병사#장교#준사관

생활법률

상근예비역, 언제 입대할까요? 입영일자 결정 A to Z!

상근예비역 입영은 신규 입영 시 입영 희망 시기와 생년월일 순으로 결정되며, 현역 복무 중 편입은 자녀 출산 등의 사유로 가능하고, 거주지를 고려하여 부대가 지정된다.

#상근예비역#입영일자#입영희망시기#생년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