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임신과 출산, 육아는 정말 기쁘고 소중한 경험이지만 동시에 많은 어려움과 부담이 따르는 과정이기도 하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정부와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예비맘과 육아맘들을 돕고 있답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지원 내용들을 정리해봤어요!
1. 💰 축하금 지원으로 기쁨 두 배!
아이를 낳았을 때 지급되는 출산장려금과 임신을 축하하는 임신축하금 제도가 있어요. 출산장려금은 지역마다 지원 금액과 자녀 수 조건이 다르니 거주 지역의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4조 및 제10조) 임신축하금 또한 지역별로 지원 여부와 내용이 다르므로 거주지 보건소에 문의해보세요.
2. 🤰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임산부의 이동과 시설 이용 편의를 위해 다양한 곳에 편의시설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어요.
3. 🚌 교통시설 이용도 편리하게!
임신과 출산, 육아 과정에서 궁금한 사항이나 어려움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관련 기관에 문의하세요. 준비된 지원 제도들을 잘 활용하여 행복한 임신과 육아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정부는 대학생, 예비부부,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성교육, 성상담, 모유수유클리닉 등 건강한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자는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임신·출산 진료비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및 2세 미만 영유아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별 출산축하금도 확인 가능하다.
생활법률
임신 신고는 의무는 아니지만, 신고 시 산전산후 관리, 교육,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고위험 임산부는 더욱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생활법률
임신 확인 후 보건소에 임신 신고하여 모자보건수첩을 발급받고, 산전 검사비, 엽산제, 철분제 지원 등 정부의 모자보건 지원 혜택을 받으세요.
생활법률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는 임신·출산 시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분만취약지 추가지원 가능)의 진료비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정부는 출산 및 양육 지원을 위해 출산축하금, 첫만남이용권(첫째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자녀세액공제, 자동차 취득세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