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임신 축하드려요! 임신하면 받을 수 있는 지원, 꼼꼼하게 챙겨보세요! (2024년 업데이트)

임신을 확인하셨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바로 보건소 또는 병원에 임신 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임신 신고를 하면 모자보건수첩을 받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모자보건법 제8조제1항)

1. 모자보건수첩, 왜 중요할까요?

임신 신고 후 발급받는 모자보건수첩(모자보건법 제9조 및 모자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제1항)은 임신 기간부터 아이가 자랄 때까지 꼭 필요한 건강 정보가 담긴 소중한 기록이에요. 마치 아이 성장의 역사책과 같다고 할 수 있죠.

수첩에는 어떤 내용이 있을까요?

  • 산모를 위한 정보: 임산부 기본 정보, 임신 시기별 주의사항(초기, 다태임신, 중기, 말기, 응급상황, 약물 복용 등), 분만 방법, 출산 후 정보, 정부 지원 사업 안내 등 임신과 출산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어요.
  • 아이를 위한 정보: 성장 발달 정보, 의료기관 방문 기록, 영유아 건강검진, 예방접종 정보, 부모를 위한 육아 정보 등 아이의 건강 관리에 꼭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어요.

더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2024년 모자보건사업 안내'(10~12쪽)를 참고해 주세요!

2. 임신하면 꼭 챙겨야 할 지원 혜택!

1) 산전 검사비 지원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산전 검사가 필수!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풍진 검사 등 여러 가지 검사 비용이 부담될 수 있는데요, 국가에서 산전 검사 비용을 지원해 준답니다. 지원 내용은 지역 보건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거주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보세요!

  • 더 자세한 내용은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출산-출산지원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엽산제 & 철분제 지원 (2023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여성어린이특화) 11~19면 참고)

  • 엽산제: 임신 전후 3개월 동안 복용하는 엽산제는 태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보건소에 등록된 임산부라면 최대 3개월분의 엽산제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모자보건법 제3조,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0조). 지자체에 따라 추가 지원도 가능하니 확인해 보세요.
  • 철분제: 임신 16주 이상부터는 태아의 성장으로 인해 임산부에게 철분이 많이 필요해지는데요, 철분제는 임신 중 빈혈을 예방하고 태아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필수 영양소예요. 보건소 등록 임산부는 임신 16주 이상부터 5개월분의 철분제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모자보건법 제3조,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0조). 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보건소에 문의해 보세요.

임신은 축복이자, 새로운 시작입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꼼꼼히 챙겨서 건강하고 행복한 임신 기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예비맘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임신 신고와 고위험 임산부 지원!

임신 신고는 의무는 아니지만, 신고 시 산전산후 관리, 교육,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고위험 임산부는 더욱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임신신고#지원혜택#고위험임산부#아이사랑

생활법률

아이 낳기 좋은 세상, 건강한 시작을 위한 지원 알아보기! 🌸

정부는 대학생, 예비부부,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성교육, 성상담, 모유수유클리닉 등 건강한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가임기 여성 건강증진#예비맘#대학생#결혼이주여성

생활법률

예비맘&육아맘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 지원 정책!

예비맘&육아맘을 위한 출산장려금, 임신축하금, 임산부 편의시설(공중화장실, 도시계획시설 등), 교통편의(안전띠 미착용, 보안검색 특례) 등 다양한 지원 정책과 법률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비맘#육아맘#지원정책#편의시설

생활법률

예비맘&육아맘 주목!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똑똑하게 받으세요!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는 임신·출산 시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분만취약지 추가지원 가능)의 진료비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건강보험#바우처#지원대상

생활법률

의료급여 받는 임산부라면?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받으세요! (2024년 기준)

의료급여 수급자는 임신·출산 시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이상 140만원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출산(예정)일로부터 2년 내 사용해야 하고, 건강보험 지원과 중복 수급은 불가능합니다.

#의료급여#임신#출산#진료비 지원

생활법률

예비맘&육아맘 주목!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이것만 알면 끝!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자는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임신·출산 진료비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및 2세 미만 영유아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별 출산축하금도 확인 가능하다.

#임신#출산#진료비#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