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임신을 확인하셨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바로 보건소 또는 병원에 임신 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임신 신고를 하면 모자보건수첩을 받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모자보건법 제8조제1항)
1. 모자보건수첩, 왜 중요할까요?
임신 신고 후 발급받는 모자보건수첩(모자보건법 제9조 및 모자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제1항)은 임신 기간부터 아이가 자랄 때까지 꼭 필요한 건강 정보가 담긴 소중한 기록이에요. 마치 아이 성장의 역사책과 같다고 할 수 있죠.
수첩에는 어떤 내용이 있을까요?
더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2024년 모자보건사업 안내'(10~12쪽)를 참고해 주세요!
2. 임신하면 꼭 챙겨야 할 지원 혜택!
1) 산전 검사비 지원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산전 검사가 필수!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풍진 검사 등 여러 가지 검사 비용이 부담될 수 있는데요, 국가에서 산전 검사 비용을 지원해 준답니다. 지원 내용은 지역 보건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거주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보세요!
2) 엽산제 & 철분제 지원 (2023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여성어린이특화) 11~19면 참고)
임신은 축복이자, 새로운 시작입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꼼꼼히 챙겨서 건강하고 행복한 임신 기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임신 신고는 의무는 아니지만, 신고 시 산전산후 관리, 교육,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고위험 임산부는 더욱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생활법률
정부는 대학생, 예비부부,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성교육, 성상담, 모유수유클리닉 등 건강한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예비맘&육아맘을 위한 출산장려금, 임신축하금, 임산부 편의시설(공중화장실, 도시계획시설 등), 교통편의(안전띠 미착용, 보안검색 특례) 등 다양한 지원 정책과 법률 정보를 제공합니다.
생활법률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는 임신·출산 시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분만취약지 추가지원 가능)의 진료비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의료급여 수급자는 임신·출산 시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이상 140만원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출산(예정)일로부터 2년 내 사용해야 하고, 건강보험 지원과 중복 수급은 불가능합니다.
생활법률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자는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임신·출산 진료비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및 2세 미만 영유아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별 출산축하금도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