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1.29

민사판례

옛날에는 아내가 단독상속?! 1959년 사망한 남편의 재산, 누가 상속받을까?

오늘은 옛날 상속법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1960년 이전에는 지금과는 다른 상속 관습이 있었습니다. 바로 호주가 아닌 기혼 장남이 자식 없이 사망했을 경우, 그 재산을 아내가 단독으로 상속받았다는 사실!

이번 사례는 1959년 8월에 사망한 남편(망인)의 재산 상속에 대한 분쟁입니다. 망인은 장남이었고, 슬하에 자녀는 없었습니다. 당시 살아있는 가족으로는 아버지(호주), 어머니, 그리고 아내가 있었습니다.

현행 민법이 시행되기 전, 즉 1960년 이전에는 호주가 아닌 기혼 장남이 자녀 없이 사망하면 아내가 모든 재산을 상속받는 것이 관습이었습니다. 이 사건의 망인이 사망한 1959년은 바로 현행 민법 시행 전이었죠.

1심과 2심에서는 당시의 관습법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아버지(호주)가 재산을 단독 상속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고, 망인의 아내가 재산을 단독으로 상속받는 것이 맞다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정리!

  • 사망 시점: 1959년 (현행 민법 시행 전)
  • 망인: 호주가 아닌 기혼 장남, 자녀 없음
  • 유족: 아버지(호주), 어머니, 아내
  • 쟁점: 망인의 재산을 누가 상속받는가?
  • 대법원 판결: 망인의 아내가 단독 상속

관련 법 조항:

  • 구 조선민사령(1912. 3. 18. 제령 제7호, 폐지) 제11조
  • 민법 부칙(1958. 2. 22.) 제25조 제1항, 제1000조

이 판례는 현행 민법 이전의 상속 관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당시 시대적 배경과 관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겠죠. 지금은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 자녀, 부모가 법정 상속 순위에 따라 재산을 나눠 상속받지만, 과거에는 상황에 따라 상속 결과가 크게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관습대로면 아내가 단독상속? 아버지가 단독상속? 상속 분쟁, 대법원의 결론은?

옛날 법(현행 민법 이전)에 따라, 가장이 아니면서 결혼한 아들이 자식 없이 사망했을 경우, 그의 아내가 모든 재산을 상속받는다는 판결입니다.

#구 조선민사령#상속#아내 단독상속#기혼 아들

상담사례

옛날 상속법, 장남이 다 가져간다고?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1960년 이전 한국의 상속법은 장남이 재산 전체를 상속받았지만, 그중 절반을 다른 형제들과 균등하게 나누어야 했다.

#옛날 상속법#호주상속#장남#재산 분배

민사판례

옛날에 아들이 없이 돌아가시면 재산은 누가 물려받았을까요?

옛날 민법 시행 전에, 가장이 아닌 남자가 아내와 딸만 남기고 사망한 경우, 재산은 아내뿐 아니라 딸에게도 똑같이 나눠서 상속된다는 판례.

#관습상속#딸 상속권#호주 아닌 남자#재산 분할

민사판례

옛날 호주 상속, 장남이 먼저 죽으면 어떻게 될까?

옛날 관습법에 따르면, 집안의 가장(호주)이 사망하기 전에 이미 결혼한 장남이 사망한 경우, 그 장남의 자녀가 있더라도 장남 가족은 호주를 잇지 못하고, 호주의 재산은 가장 가까운 친척에게 상속된다는 판결입니다.

#호주상속#절가#구민법#장남 사망

민사판례

옛날 법과 새 법 사이, 상속은 어떤 법으로?

옛날 법 시행 당시 시댁 재산을 상속받은 여성이 새 법 시행 후 사망했을 경우, 그 여성의 재산 상속은 새 법에 따라야 한다. 즉, 시댁 가족이 아니라 친정 가족에게 상속된다.

#상속#신민법#시댁재산#친정

민사판례

1960년 이전, 호주 아닌 가족이 사망했을 때 상속은 어떻게 될까요?

1960년 이전, 호주가 아닌 가족이 사망하면 배우자가 아닌 자녀들에게 재산이 균등하게 상속된다는 판례 확립. 과거 배우자에게만 상속된다는 판례는 폐기됨.

#1960년 이전#호주 사망#자녀 균등상속#관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