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들을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책임입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청소년 유해업소' 출입 제한입니다. 오늘은 청소년 유해업소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규정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청소년 유해업소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청소년의 출입이나 고용이 법으로 금지된 곳을 말합니다.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 청소년의 출입과 고용 모두 금지된 곳입니다. 대표적으로 유흥주점과 단란주점이 여기에 속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제5호가목3, 청소년 보호법 시행령 제5조제2항).
청소년 고용 금지업소: 청소년은 출입할 수 있지만, 고용은 금지된 곳입니다. 예를 들어, 배달형 휴게음식점(다방), 술을 주로 파는 일반음식점(소주방, 호프, 카페 등)이 포함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제5호나목3, 청소년 보호법 시행령 제6조제2항).
2. '청소년'은 누구를 말하나요?
만 19세 미만인 사람을 뜻합니다. 단,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제1호). 즉,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라도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청소년에 해당합니다.
3. 어떤 규정이 있을까요?
고용 제한: 청소년 유해업소는 청소년을 고용할 수 없습니다. 업주는 종업원을 고용하기 전에 반드시 나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9조제1항).
출입 제한: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는 청소년의 출입을 막아야 합니다. 업주와 종사자는 출입자의 나이를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9조제2항).
친권자 동반: 청소년이 친권자 또는 후견인과 함께라면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에 출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단란주점과 유흥주점은 친권자가 동반하더라도 출입이 절대 불가능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9조제5항, 청소년 보호법 시행령 제27조제2항 및 제3항).
나이 확인: 업주와 종사자는 나이 확인을 위해 신분증 제시를 요구할 수 있으며, 정당한 이유 없이 제시를 거부하는 사람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9조제4항).
표시 의무: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는 출입구에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표지를 의무적으로 부착해야 합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9조제6항, 청소년 보호법 시행령 제28조).
4. 위반 시 처벌은?
청소년 고용: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청소년 보호법 제58조제4호)
청소년 출입: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8호)
표시 의무 위반: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9호)
청소년 유해업소 관련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세요!
생활법률
청소년의 출입과 고용이 모두 금지되는 업소는 게임장, 사행행위영업, 유흥업소, 비디오물감상실, 노래방(청소년실 제외), 무도장, 음성/화상 대화 매개 영업, 유사성행위 업소, 유해 매체물 관련 영업, 화상경마장, 화상경륜·경정장 등이다.
형사판례
2001년 개정 전 청소년보호법에서 금지하는 청소년의 유해업소 '출입'은 업소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출입 행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소년이 유해업소에 단순히 들어가기만 해도 업주는 처벌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19세 미만 미성년자는 법률에 따라 유흥/도박업소 등 출입·고용 금지 업소, PC방/일부 숙박업소 등 고용 금지 업소, 그리고 유해·위험 업종에서 일할 수 없으며, 위반 시 사업주는 처벌받는다.
형사판례
청소년 출입금지 업소의 업주와 종업원은 손님의 나이를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나이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아 청소년이 출입했을 경우에는 고의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청소년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유흥주점, 성매매 알선 업소 등 청소년 유해업소 업주는 종업원 고용 시 반드시 신분증 등을 통해 나이를 철저히 확인해야 하며, 미심쩍은 경우 추가 확인까지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소홀히 해 청소년을 고용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청소년 유해환경(유해 매체물, 약물, 물건, 업소, 폭력·학대)의 종류와 이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판매·배포 금지, 출입·고용 제한, 신고 포상 등)를 설명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