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집을 허물고 새로 짓는다는 건 설렘과 동시에 복잡한 절차를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죠? 특히 법적인 부분은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택 해체 허가부터 멸실 신고까지,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
1. 주택 해체, 허가 받아야 하나요? 신고만 하면 되나요?
주택을 해체하려면 기본적으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1항 본문). '해체'란 건물 전체 또는 일부를 부수거나 잘라내는 모든 행위를 말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2조제7호). 하지만 예외적으로 신고만으로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1항 단서, 시행령 제21조제1항, 제2항).
신고만 하면 되는 경우:
신고만으로 안 되고 허가 받아야 하는 경우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2항):
2. 해체 허가/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해체 허가 또는 신고를 하려면 해체계획서
를 첨부한 건축물 해체 허가/신고서
를 허가권자(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3항, 시행규칙 제11조제1항, 제4항, 제12조제1항). 해체계획서에는 해체공사 개요, 건축설비 이동/철거/보호 계획, 작업순서/해체공법/구조안전계획, 안전관리대책, 해체물 처리계획, 부지정리/환경 보수/보상 계획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1조제1항).
3. 석면 조사는 필수!
만약 주택이나 자재에 석면이 포함되어 있다면, 허가권자는 관계 기관(고용노동부, 환경부 등)에 이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3항, 시행령 제21조제3항). 석면은 건강에 매우 해롭기 때문에 반드시 관련 법규에 따라 안전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4. 해체계획서는 누가 작성하나요?
해체계획서는 건축사 또는 건축구조 기술사가 작성하고 서명해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제4항).
5. 해체공사 시작 전 착공신고!
해체 허가를 받았다면 공사 시작 전에 해체공사 착공신고서
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의2제1항 본문). 하지만 신고 대상 해체공사는 착공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0조의2제1항 단서).
6. 멸실 신고, 잊지 마세요!
건물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는 30일 이내에 건축물 멸실신고서
를 제출해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4조제1항 본문, 시행규칙 제17조제1항). 만약 건물 전체를 해체하고 해체공사 완료신고를 했다면 멸실 신고를 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34조제1항 단서).
7. 불법 해체, 절대 안 돼요!
무허가 해체, 부실한 해체계획서 작성 등은 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공중의 위험을 발생시키거나 인명피해를 야기한 경우에는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건축물관리법 제51조, 제51조의2, 제52조, 제54조).
집을 허물고 새로 짓는 과정, 생각보다 복잡하죠? 하지만 관련 법규를 잘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을 겁니다. 궁금한 점은 해당 지자체 건축 관련 부서에 문의하면 더욱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법률
주택 해체 시 규모와 위치에 따라 허가 또는 신고(500㎡/12m/3층 이하 등 조건 충족 시)가 필요하며, 해체계획서 제출, 석면 함유 여부 확인 등 절차를 거쳐야 하고, 건물 멸실 시 30일 이내 멸실 신고(해체 허가 후 완료 신고 시 면제)를 해야 하며, 미이행 시 제재를 받는다.
생활법률
건축 시 규모와 종류에 따라 허가(대규모 건축) 또는 신고(소규모 건축)가 필요하며, 각 절차와 필요서류, 위반 시 벌칙, 효력, 변경 절차 등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생활법률
낡은 건물 철거는 물건조서 작성 후 철거 허가(또는 신고)를 받고, 상세한 해체계획서에 따라 관리처분계획 인가 후(또는 예외적 사전) 착공하여, 안전하게 철거 공사를 진행하고 완료 신고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생활법률
건축 허가 및 신고 절차는 건축 종류(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와 규모에 따라 허가, 신고, 사전결정 등으로 구분되며, 각 절차에는 필요 서류, 처리 기간, 수수료, 의제되는 인허가, 위반 시 벌칙 등이 규정되어 있다.
생활법률
낡은 집 철거는 사업시행계획, 관리처분계획인가, 건축물관리법/건축법/주택법에 따른 허가·신고·착공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석면조사, 안전사고 예방 등에도 유의해야 한다.
생활법률
공인중개사 업무 관련 건축법 핵심은 건축 용어 정의, 허가/신고 대상, 절차(사전결정, 허가, 착공, 사용승인, 변경, 해체, 멸실, 용도변경), 적용 제외 대상, 제한 사항 등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