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 키우기 힘든 세상, 힘이 되어줄 육아지원 정책들을 알아보세요! 직장어린이집, 아이돌봄서비스, 보육료/양육수당, 아동수당까지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
1. 직장어린이집
직장맘, 직장대디라면 누구나 꿈꾸는 직장어린이집! 우리 회사에도 있을까요?
2. 보육료 & 양육수당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거나, 가정에서 양육하는 경우,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연장보육
갑작스러운 야근, 긴급한 상황에도 아이 걱정 없이 안심할 수 있도록 연장보육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4. 아이돌봄서비스
만 12세 이하 아동을 위한 맞춤형 돌봄 서비스, 아이돌봄서비스!
5. 아동수당
모든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아동수당!
위 정보들을 잘 활용하여 육아 부담을 덜고, 아이와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어린이집/유치원 미이용 가정에서 24개월~86개월 미만 아동 양육 시, 월 10만원(장애/농어촌 아동은 차등 지급)의 가정양육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2024년 영유아 보육료 지원 안내: 만 0~2세 영아, 3~5세 유아, 장애아, 다문화가정 자녀, 방과 후 보육 필요 초등학생 대상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자세한 내용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생활법률
워킹맘&워킹대디를 위한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업무분담 지원금 제도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상담사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한부모 가정은 주민센터를 통해 아동양육비, 추가 아동양육비, 아동교육지원비, 생활보조금 등의 정부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참고)
생활법률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는 최대 1년까지 육아휴직 또는 주 15~35시간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으며, 미사용 육아휴직 기간만큼 단축 기간 연장도 가능하다.
생활법률
2024년 어린이집 보육료는 시·도지사가 정한 상한액 내에서 어린이집과 부모 협의로 결정되며, 인건비, 교재·교구비, 급·간식비, 관리운영비 등이 포함되고, 입학준비금 등 일부 항목에 한해 법정 한도 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