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나 채권 투자를 하다 보면 사기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유가증권 사기에서 피해액, 즉 범죄자가 얻은 이득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은 바로 **"액면가액"**입니다. 대법원은 유가증권을 편취한 사기범행의 이득액은 그 유가증권의 액면가액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쉽게 말해, 사기꾼이 액면가 1,000원짜리 주식 100주를 사기로 얻었다면, 이득액은 10만원이라는 것입니다.
이번 판례에서 피고인들은 여러 피해자를 속여 돈이나 약속어음, 수표, 예금통장 등을 받아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며, 특히 유가증권을 편취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액면가액을 이득액으로 보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례는 유가증권 사기 사건에서 이득액 산정 기준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실제 손해액과 액면가액이 다를 수 있지만, 법원은 일관된 기준 적용을 위해 액면가액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참조 판례:
이 글은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법률적 자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구체적인 법률 문제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형사판례
돈을 갚을 능력 없이 투자금을 받아 가로챈 사기 사건에서, '이득액'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관계없이 편취한 총액으로 계산하고, 아는 사람에게 투자 권유를 하더라도 누구든 투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유사수신행위에 해당한다는 판결.
형사판례
이 판결은 유가증권 사기 사건에서 이득액을 액면가액으로 계산하여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적용 여부와, 공소장에 기재된 피해자와 실제 인정된 피해자가 다를 경우에도 유죄 판결이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형사판례
면세유를 불법으로 판매하고, 수사 무마 청탁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한 판결. 이득액 산정, 공범 여부, 실제 청탁 의사가 없더라도 변호사법 위반죄 성립 여부 등이 쟁점이 되었다.
형사판례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담보로 사기를 친 경우,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사기죄는 하나로 볼 수 있는가? 아니면 피해자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기죄가 성립하는가? 대법원은 피해자 각각의 재산권이 독립적으로 침해되었으므로 피해자별로 사기죄가 성립하고, 이는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판례
누군가의 거짓말에 속아 주식을 샀다면, 사기꾼은 속은 사람이 실제로 입은 손해만큼만 배상해야 합니다. 즉, 주식을 산 가격과 그 주식의 실제 가치의 차액만큼만 배상 책임이 있습니다. 주식을 산 가격 전체를 배상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사기를 저질렀을 때,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을 적용할지 판단하는 기준 금액은 모든 공범이 얻은 이익을 합쳐서 계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