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3.22

세무판례

육교상가 보수공사와 부가가치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육교상가 보수공사와 관련된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사건의 개요

한 회사(원고)가 서울시에 육교상가를 지어 기부채납하고, 10년간 도로점용 허가를 받아 임대관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육교상가 보수공사를 진행했는데요. 회사가 공사비를 부담하고, 공사가 끝나면 보수된 부분은 서울시 소유가 되는 대신, 서울시는 회사에게 공사비만큼의 도로점용료를 면제해주고 점용기간도 연장해주기로 했습니다. 이후 세무서에서는 회사가 서울시에 재화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 도로점용권 등을 받았다며 부가가치세를 부과했습니다. 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육교상가 보수공사를 서울시에 제공한 것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는가?
  2. 세무서가 '용역'이 아닌 '재화'의 공급으로 보고 부가가치세를 부과한 것이 잘못이라면, 부과 처분 자체가 취소되어야 하는가?
  3. 회사의 육교 보수공사 기부채납과 도로점용료 면제 사이에 대가 관계가 존재하는가?
  4. 행정청이 아닌 자가 공공시설을 설치하고 무상사용권을 받은 경우, 부가가치세 비과세 관행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1. 회사가 서울시와 협약에 따라 육교상가 보수공사를 하고 서울시에 제공한 행위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용역의 공급'에 해당한다.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3항, 제7조 제1항)
  2. 세무서가 '용역'이 아닌 '재화'의 공급으로 잘못 판단했더라도, 부가가치세 부과 처분 자체가 취소되는 것은 아니다. (행정소송법 제19조)
  3. 서울시가 회사에게 보수공사를 하도록 하고 기부채납 받은 것은 도로점용료 등을 면제해주는 대가로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예산을 절감하려는 목적이므로, 기부채납과 도로점용료 면제 사이에는 대가 관계가 있다.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8호)
  4. 비슷한 사례에서 과거에 부가가치세가 부과되지 않았더라도, 그것만으로 비과세 관행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국세기본법 제18조 제3항)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3항, 제7조 제1항, 제12조 제1항 제18호, 동법 시행령 제2조
  • 도시계획법 제24조 제1항, 제83조 제2항
  • 행정소송법 제19조
  • 국세기본법 제18조 제3항
  • 대법원 1990.4.27. 선고 89누596 판결 외 관련 판례 다수

결론

이 판례는 육교상가 보수공사와 같은 공공시설 관련 사업에서도 대가 관계가 인정되면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라도 세법상 대가 관계가 명확하다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지하상가 기부채납과 부가가치세

민간 사업자가 지하도 겸 상가를 지어 국가에 기부하고, 그 대가로 상가 무상사용권을 받은 경우, 이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거래가 아니다. 즉, 건설용역을 제공한 것으로 보고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지하상가#기부채납#부가가치세#건설용역

세무판례

지하상가 기부채납하고 무상사용? 부가세 내야 할까?

민간 사업자가 지하상가를 지어 국가에 기부채납하고 그 대가로 무상사용권을 받는 경우, 이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된다.

#지하상가#기부채납#무상사용#부가가치세

세무판례

서울시에 놀이동산 기부채납하고 무상사용권 받으면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서울시에 놀이동산을 지어 기부채납하고 15년간 무상사용권을 받은 경우, 이는 재화가 아닌 용역의 공급으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다.

#놀이동산#기부채납#부가가치세#용역

세무판례

지하상가 기부채납과 부가가치세 납부 시점

건설사가 지하상가를 지어서 지자체에 기부채납하고, 그 대가로 일정 기간 무상으로 사용할 권리를 받았을 때 부가가치세는 언제 내야 할까요? 단순히 준공검사일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지하상가가 완성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지하상가#기부채납#부가가치세#과세시점

세무판례

공원 기부채납하고 운영권 받으면 부가세 내야 할까?

허가 없이 공원을 지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고 관리위탁을 받으면서 운영권을 얻은 경우, 기부채납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재화의 공급에 해당한다.

#공원시설#기부채납#관리위탁#부가가치세

세무판례

고속도로 휴게소 증축과 부가가치세, 숨겨진 대가를 찾아서!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자가 휴게소를 증축하고 한국도로공사에 기부채납했지만 증축 비용을 돌려받지 못한 경우에도, 증축 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가? (정답: 내야 한다)

#휴게소#증축#기부채납#부가가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