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어음 때문에 은행과 분쟁이 생겼다면? 은행도 약속어음과 관련하여 은행에 어떤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회사는 B은행과 당좌계정 약정을 맺고, B은행 충무로 지점을 지급 장소로 하는 약속어음을 발행해왔습니다. A회사는 C회사에게 B은행 충무로 지점을 지급 장소로 하는 약속어음 두 장을 발행했습니다. 약속어음 지급 기일에 A회사는 B은행에 전화하여 "오후에 거래처에서 돈이 들어올 예정이니, 먼저 국방부 입찰보증금을 인출하게 해 주고, 마감 전까지 약속어음 대금을 입금하겠다"라고 요청했습니다. B은행은 이를 허락했고, A회사는 C회사에도 급히 돈을 입금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약속어음이 B은행에 제시되었을 때 A회사 계좌에는 잔액이 부족했습니다. C회사가 다른 지점에서 입금한 금액으로도 부족했습니다. A회사 아들이 B은행에 와서 돈을 인출해 갔고, 결국 약속어음은 부도 처리되었습니다. C회사는 약속어음 배서인으로서 소지인에게 돈을 지급하고, 부도난 약속어음을 돌려받았습니다. C회사는 B은행의 잘못으로 약속어음이 부도 처리되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B은행에 책임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 법 조항
결론
이 판례는 은행도 약속어음의 경우 은행이 약속어음 소지인에게 직접적인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약속어음 거래 시에는 발행인의 신용 상태와 자금 상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당좌계정 약정 내용을 잘 살펴보고, 혹시 모를 분쟁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담사례
은행은 어음 지급을 보증하지 않으며, 발행인 계좌 잔액 부족으로 인한 어음 부도 시 은행의 지급 순서 결정에 대한 책임은 없다.
상담사례
약속어음 분실 후 제권판결을 받고 담보금을 돌려받았지만, 실제론 양도된 어음이라 제권판결이 취소되어 어음 소지인에게 은행이 지급해야 할 가능성이 높고, 본인은 거짓 신고자에게 손해배상 청구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담사례
권한 없는 은행 지점장의 약속어음 보증 배서라도 제3자가 그 사실을 몰랐다면 은행은 책임을 져야 한다.
민사판례
직원이 회사 어음을 훔쳐 위조 배서한 경우, 회사는 사용자 책임을 지지만, 피해자가 손해와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이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소송 과정에서 가해자와 손해를 알았다고 판단되어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판결했다.
상담사례
지급거절증서 작성 면제 특약이 있는 배서인은, 소지인이 지급거절증서 없이 지급을 요구하더라도 배서인에게 변제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민사판례
단순히 고액 어음을 소액 어음 여러 장으로 바꿔주는 것을 주선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교환된 소액 어음의 지급을 보증한 것으로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