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12.22

민사판례

음반 제작과 저작권, 핵심 쟁점 완벽 정리!

음악 산업에서 음반 제작자와 작사·작곡가 사이의 저작권 문제는 끊임없는 분쟁의 씨앗이죠. 오늘은 음반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관련 핵심 쟁점을 짚어보겠습니다. 이 글은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6다11130 판결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음반 제작하려면 작사·작곡가 허락 필수? (O)

음반 제작자는 음반을 복제하고 배포할 권리(저작인접권)를 갖지만, 음반에 수록된 음악 자체에 대한 권리는 작사·작곡가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음반 제작자는 음반을 만들고 팔기 위해 반드시 작사·작곡가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저작권법 제2조 제7호, 제42조, 제62조, 제67조)

2. 허락 범위, 어디까지일까?

'원곡을 편집 음반에 넣어도 될까?'와 같은 허락 범위가 불분명할 때는 계약 당시 상황, 거래 관행, 당사자들의 의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음반 제작 당시 편집 음반 제작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었다면, 별도의 계약 없이도 편집 음반에 원곡을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42조 제2항, 민법 제105조)

3. 원곡 일부 생략, 괜찮을까? (O)

원곡의 일부를 생략하여 편집 음반에 수록하는 경우에도, 생략된 부분이 작곡가의 창작 부분이 아니라 프로듀서의 편곡 부분이고, 원곡 가수가 그대로 노래를 불렀다면 저작권 침해가 아닐 수 있습니다.

4. 저작권 신탁, 편집 저작물 작성 권리까지 포함? (X)

작사·작곡가가 저작권협회 등에 저작권을 신탁했다고 해서 편집 저작물 작성 권리까지 넘긴 것은 아닙니다. 별도의 약정이 없다면, 저작권협회는 편집 저작물 작성 권리 침해를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법 제21조, 제41조 제2항)

5. 판례가 말하는 핵심 포인트

이번 판례는 음반 제작자가 원반 제작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비용을 부담했으며, 작사·작곡가는 음반 제작자에게 곡 이용에 대한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편집 음반 제작을 허락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곡의 일부 생략은 작곡가의 창작성을 훼손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처럼 음반 제작과 관련된 저작권 문제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하게 계약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통해 음반 제작과 관련된 저작권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편집 음반 제작, 저작권과 저작인접권 모두 확인해야!

기존 음반에 수록된 곡들을 모아 편집 음반을 만들려면, 원 음반 제작자의 허락뿐 아니라 원곡 저작권자(작사·작곡가)의 허락도 받아야 한다.

#편집 음반#원곡 저작권#저작권자 허락#저작인접권

민사판례

편집앨범 만들려면 원곡 저작권자 허락도 받아야 할까?

기존 음반에 수록된 곡들을 모아 편집 앨범을 만들려면, 원 음반 제작자의 허락뿐만 아니라 원곡 저작권자의 허락도 받아야 한다.

#편집 앨범#저작권#원곡 저작권자#음반 제작사

민사판례

편집앨범 제작, 저작권과 저작인접권 모두 확인해야!

편집앨범을 만들려면 음반제작자뿐 아니라 음악저작권자의 허락도 받아야 합니다. 저작권을 신탁받은 사람은 등기/등록을 안 했더라도 저작권 침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편집앨범#저작권#음반제작자#음악저작권자

민사판례

옛날 음반, 누구 저작권일까? 음반 제작자와 작곡가의 저작권 다툼 이야기

옛 저작권법(1987년 이전)에서는 음반 제작자가 저작권자였으며, 단순히 연주나 노래를 한 사람은 저작권자가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또한, 옛 음반에 대해서는 전송권은 인정되지만 대여권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옛 저작권법#음반 저작권자#음반 제작자#전송권

생활법률

음악 저작권, 쉽게 알아보자! 🎵

음악 저작권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등 저작자가 갖고 있으며, 저작인격권과 양도 가능한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저작권 등록 시 권리 주장이 용이하고, 2차적저작물 작성권은 원저작자에게 있다.

#음악 저작권#저작자#권리자#저작인격권

민사판례

음악 저작권 침해, 어디까지 보호받을까?

저작권은 창작적인 표현을 보호하는 것이지, 모든 표현을 보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음악 저작물에서 창작성이 없는 부분은 저작권 침해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음악 저작권#창작성#침해#가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