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6.14

세무판례

음악저작권협회, 저작권 관리 수수료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저작권 관리 수수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를 다룬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빼고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음악 저작권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입니다. 협회는 회원인 저작권자들로부터 음악 저작권을 위탁받아 관리하고, 음악을 사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사용료를 받습니다. 이 사용료에서 원천징수세와 관리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저작권자들에게 돌려줍니다. 이 사건은 협회가 받는 이 관리 수수료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지에 대한 분쟁입니다.

쟁점

  1. 협회가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저작권 관리 용역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가?
  2. 협회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로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가?

법원의 판단

  1. 저작권 관리 용역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다.

협회는 회원들로부터 저작권을 위탁받아 관리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받습니다. 비록 회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협회는 회원들과는 별개의 독립된 법인입니다. 수수료는 협회의 수입이 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수수료가 실비 정도의 금액이라 하더라도 용역 제공과 수수료 지급 사이에 경제적 대가 관계가 있기 때문에 과세 대상이라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1. 협회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아니다.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란 사회 일반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를 말합니다. 협회는 음악 저작권자라는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이므로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닙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7조, 제12조 제1항 제16호
  • 구 부가가치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 대법원 1985. 2. 26. 선고 84누522 판결
  • 대법원 1985. 4. 9. 선고 83누399 판결
  • 대법원 1987. 12. 8. 선고 86누824 판결

결론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회원들로부터 받는 저작권 관리 수수료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입니다. 협회는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한 단체이므로 공익단체로서의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저작권 관리 수수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원칙을 명확히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법률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수수료 수입은 수익사업 아니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저작권자들로부터 저작권 관리를 위탁받고 사용료를 징수하면서 받는 수수료는 비영리법인의 수익사업이 아니므로 법인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저작권 신탁관리#수수료#비영리

세무판례

만화 번역출판,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 - 저작권료와 인적 용역에 대한 이야기

개인 저작권자가 직접 제공하는 용역에 대한 저작권 사용료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지만, 법인 등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면제되지 않는다.

#저작권 사용료#부가가치세#면제#개인

민사판례

음악 저작권 신탁과 해지, 그리고 그 후

작곡가가 자신의 저작권을 관리해주는 협회에 신탁했는데, 협회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이때 계약 해지의 정당성, 해지 이후 협회의 의무, 그리고 손해배상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저작권#신탁관리#계약해지#손해배상

세무판례

ATM 관리회사, 부가세 면세 못 받는 이유

ATM 제조 및 관리업체가 은행에 제공하는 ATM 관리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수납·지급대행용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ATM#관리용역#부가가치세#면제대상

세무판례

부천시, 노인복지시설 운영 위탁은 부동산 임대!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지자체가 시설 관리를 단체에 위탁하고 그 단체가 제3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지자체는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라 부동산 임대 용역을 제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합니다. 이는 시설이 행정재산이거나 공익적 목적이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자체#시설위탁#부가가치세#부동산임대용역

민사판례

통화연결음 서비스 저작권료, 통신사 부가서비스 요금은 매출에 포함될까?

통신사가 제공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에서, 저작권 사용료 계산 시 통신사가 받는 부가서비스 이용료는 매출액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통화연결음#저작권료#부가서비스#매출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