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이행권고결정 확정 후 위조 증거 발견! 😱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소액 재판에서 이행권고결정을 받았는데, 이의신청 기간을 놓쳐 확정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상대방(원고)이 제출한 증거가 위조된 것 같다면? 너무 억울하죠!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행권고결정이란 무엇일까요?

소액사건심판법 제5조의7 제1항에 따르면, 법원은 소액사건의 경우 간편한 절차로 신속하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이행권고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피고(당신)가 이 결정에 이의신청을 하지 않으면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게 됩니다.

확정된 이행권고결정, 정말 뒤집을 수 없을까요?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은 일반적인 확정판결과는 조금 다릅니다. 확정판결에 이의를 제기하려면 '변론 종결 후'에 생긴 사유만 가능하지만 (민사집행법 제44조 제2항), 이행권고결정은 소액사건심판법 제5조의8 제3항에 따라 '결정 전'에 생긴 사유라도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즉, 위조된 증거와 같이 이행권고결정 이전에 존재했던 문제를 다툴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준재심을 신청할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9. 5. 14. 선고 2006다34190 판결)에 따르면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에는 준재심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준재심은 확정판결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판결 자체를 취소하는 제도인데, 이행권고결정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해도 기판력(이미 확정된 판결의 내용에 대해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게 하는 효력)을 갖지 않기 때문입니다. (참고: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461조)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청구이의의 소: 아직 강제집행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위조된 증거를 바탕으로 부당하게 이행권고결정이 내려졌다는 것을 주장하여 결정의 효력을 없앨 수 있습니다.

  2.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소: 만약 이미 강제집행이 완료되어 돈을 지불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소를 통해 부당하게 지급한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행권고결정이 확정되었다고 해서 모든 희망을 잃을 필요는 없습니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법적 조치를 통해 위조된 증거로 인한 부당함에 맞서 싸울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액재판 이행권고결정, 확정되었다고 끝이 아닐 수도!

소액 사건에서 간편하게 확정되는 이행권고결정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지만, '기판력'은 없기 때문에 재심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불복해야 합니다.

#이행권고결정#재심#기판력#소액사건

생활법률

억울한 이행권고결정, 가만히 있으면 안 돼요! 이의신청 방법 A to Z

소액 재판 이행권고결정에 불복한다면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통해 정식 재판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부득이한 사유로 기간을 놓친 경우 추후보완 신청이 가능하다.

#이행권고결정#이의신청#2주(불변기간)#추후보완

생활법률

소액 사건, 이행권고결정으로 빠르게 해결해보자!

소액사건에서 법원이 원고 청구대로 이행을 권고하는 이행권고결정은 피고가 2주 이내 이의신청을 안 하면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신속한 분쟁 해결에 도움을 준다.

#소액사건#이행권고결정#소액재판#이의신청

상담사례

억울하게 1,000만 원 갚으라니?! 이행권고결정, 2주 지났는데 어떡하죠? 😱

이행권고결정 2주 이의신청 기간을 놓쳤지만, 상대방의 강제집행 시작 시 '청구이의의 소'로 대응 가능하다.

#이행권고결정#이의신청#2주 기간 도과#추후보완

상담사례

소액 사건, 복잡한 소송 없이 해결하기! 이행권고결정 제도 완벽 정리

2천만원 이하 소액 채권을 간편하게 회수하는 이행권고결정 제도는 채무자가 2주 내 이의신청하지 않으면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이행권고결정#소액 사건#소송#채권자

생활법률

소액사건 이행권고결정, 강제집행 & 청구이의 : 쉽게 알아보기!

소액사건 이행권고결정 확정 시 원고는 집행문 없이(특별한 경우 제외) 강제집행 가능하며, 피고는 결정 전후 사유로 청구이의의 소 제기 가능하다.

#소액사건#이행권고결정#강제집행#집행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