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8.10

세무판례

임가공 원자재, 임의 소비해도 재화 공급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가공과 관련된 부가가치세 판례를 쉽게 풀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 때문에 머리 아파하지 마세요! 차근차근 읽어보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에 원자재를 제공하고 B 회사는 이를 가공하여 완제품을 A 회사에 납품하는 임가공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런데 B 회사가 A 회사로부터 받은 원자재의 일부를 임의로 사용해버렸습니다. 세무서는 이를 A 회사가 B 회사에 원자재를 공급한 것으로 보고 A 회사에 부가가치세를 부과했습니다. A 회사는 억울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임가공 목적으로 제공한 원자재를 임가공업자가 임의로 소비한 경우, 이를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으로 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아니다"라고 판결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제6조 제1항은 재화의 공급을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모든 원인에 의하여 재화를 인도 또는 양도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대법원은 부가가치세는 소비세의 일종이므로, 재화의 인도 또는 양도는 재화를 사용·소비할 권한의 이전을 의미한다고 해석했습니다.

A 회사는 B 회사에 임가공을 목적으로 원자재를 제공했을 뿐, B 회사에게 원자재를 마음껏 사용·소비할 권한까지 준 것은 아닙니다. B 회사가 원자재를 임의로 사용했다고 해서 A 회사가 B 회사에게 재화를 공급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무서의 부가가치세 부과는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임가공 목적으로 제공된 원자재는 임가공업자가 임의로 소비하더라도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않습니다.
  • 재화의 공급은 재화를 사용·소비할 권한의 이전을 수반해야 합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85.9.24. 선고 85누286 판결
  • 대법원 1988.3.22. 선고 87누694 판결

참조 조문

  • 부가가치세법 제6조 제1항

이번 판례를 통해 임가공과 관련된 부가가치세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하게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법률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해외 임가공 원자재, 부가세 영세율 적용될까?

임가공 목적으로 해외에 원자재를 수출하는 것은 단순히 물건을 보내는 행위이므로, 이 자체로는 부가가치세 영세율(0%)을 적용받는 '재화의 공급'으로 볼 수 없다. 영세율은 최종 제품이 해외에서 판매될 때 적용되며, 원자재 공급 시점은 최종 제품의 해외 판매 시점으로 본다.

#임가공#원자재 수출#부가가치세 영세율#재화의 공급

세무판례

사업과 관련된 재화 공급, 부가가치세는 어떻게 될까?

사업과 관련된 일시적인 재화 공급도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며, 폐업 전후 중간지급조건부 재화 공급은 잔존재화로 보지 않아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부가가치세#일시적 재화 공급#폐업#중간지급조건부

세무판례

영업용 차를 개인적으로 쓰면 어떻게 될까? 부가가치세 이야기

사업자가 영업용으로 구입한 소형승용차를 실제로는 비영업용으로 사용하면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며, 이를 다시 판매할 때에도 부가가치세가 과세됩니다. 또한, 비영업용으로 전용된 차량의 부가가치세는 시가(실제 거래 가격)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영업용 차량#비영업용 전용#부가가치세#시가

세무판례

여러 사업장 가진 사업자의 재화 반출, 부가세는 어떻게 될까?

여러 사업장을 가진 사업자가 제품을 다른 사업장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것은 단순 이동일 뿐, 면세사업에 사용된 것으로 인정되지 않아 매입세액 공제를 제한할 수 없다는 판결. 각 사업장은 독립적으로 세금 계산을 해야 합니다.

#사업장 간 재화 이동#부가가치세 면세#매입세액 공제#재화의 공급

세무판례

공동사업자가 건물 일부를 소유권 이전받았을 때, 재화의 공급인가요?

건물 신축·분양 공동사업에서 사업자가 대지 제공의 대가로 신축 건물 일부를 받은 경우, 해당 건물 부분은 애초에 분양 대상이 아니었으므로 공동사업체로부터 재화를 공급받은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따라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니며, 사업소득 금액에도 가산되지 않습니다.

#공동사업#신축건물#부가가치세#사업소득

세무판례

사업자의 경매 재화 양도, 부가세 납부해야 할까?

사업자가 자신의 재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 실제로 돈을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경매#재화 양도#부가가치세#납부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