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에게 임금을 제때 주지 않은 사장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사장, 알고 보니 애초에 임금을 줄 생각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사기죄로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임금 체불과 사기죄의 관계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한 마트 사장이 직원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벌금형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이 사장을 사기죄로도 기소했습니다. 사장이 처음부터 임금을 줄 의사나 능력이 없으면서 직원들을 고용하여 일시켰다는 것입니다.
사장의 주장
사장은 이미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으니, 사기죄로 다시 처벌하는 것은 이중처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같은 사실로 두 번 처벌받을 수는 없다는 것이죠.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사장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근로기준법 위반과 사기죄는 보호하는 법익, 행위 태양, 범행 일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같은 사실에 대한 이중처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근로기준법 위반은 근로자의 임금 지급 청구권을 보호하는 것이고, 사기죄는 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므로, 둘은 다른 범죄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임금을 늦게 주는 것과 애초에 줄 생각 없이 사람을 고용해서 일을 시키는 것은 다른 행위라는 것이죠. 따라서 임금을 주지 않아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받았더라도, 고용 당시부터 임금 지급 의사나 능력이 없었음이 입증된다면 사기죄로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참고 판례: 대법원 2003.10.24. 선고 2003도4695 판결)
형사판례
회사가 경영 악화 등 불가피한 사정이나, 고의 또는 과실 없이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경우에는 임금 체불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항공사 대표가 직원들 임금을 체불하고 투자금을 받았다고 거짓말하며 돈을 빌린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임금 체불과 사기 혐의를 유죄로 판결했습니다. 또한, 위조된 예금통장 사본을 이용한 사기 시도를 중지미수가 아닌 사기미수로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회사가 심각한 불황일 때, 사장이 모든 노력을 다했음에도 임금을 체불할 수밖에 없었다면,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있다는 판결.
형사판례
회사 이사가 근로자 고용, 급여 지급 등 실질적으로 근로자 관련 업무를 처리했다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즉, 대표이사뿐 아니라 이사도 근로기준법 위반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이사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권한을 위임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에 대한 책임(예: 임금 지급)은 여전히 대표이사에게 있다.
형사판례
회사 경영 악화 상황에서 직원들이 대표이사에게 사임을 제안하며, 거부할 경우 임금 체불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한 행위가 협박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회사 정상화를 위한 정당한 권리 행사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협박죄의 ‘협박’에 해당하지 않거나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