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9.27

일반행정판례

자진신고 감면 불인정,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오늘은 기업들이 담합 행위를 했을 때 자진신고하면 처벌을 감면해주는 제도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특히 자진신고 감면을 받지 못했을 때, 이 결정에 불복해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A회사와 B회사가 건축용 판유리 가격을 담합해서 인상했습니다. 이후 A회사가 먼저, B회사가 그 다음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자진신고를 했습니다. 먼저 신고한 기업에 더 큰 감면 혜택을 주는 제도 때문에 누가 먼저 신고했는지가 중요했죠. 그런데 공정위는 A회사의 자진신고는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감면을 불인정하고, B회사를 1순위 자진신고자로 인정했습니다. A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감면 불인정 통지는 행정소송의 대상인가?

이 사건의 핵심은 공정위의 "감면 불인정 통지"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인지 여부였습니다. 행정처분이란, 행정청의 공법상 행위로서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말합니다. 단순한 행정 지도나 내부 지침은 행정처분이 아니죠.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감면 불인정 통지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진신고 감면 제도의 취지: 이 제도는 담합 행위를 자진신고하는 기업에 과징금 감면, 형사고발 면제 등의 혜택을 줍니다. 감면 불인정 통지는 이러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을 없애므로 기업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법치행정의 원리: 기업이 감면을 받지 못했을 때, 그 결정에 불복할 수 있는 절차가 있어야 합니다. 감면 불인정 통지를 행정처분으로 보지 않으면 기업은 법적 구제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행정처분의 정의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2조의2 제1항: 자진신고자 감면 제도
  •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5조 제1항: 자진신고자 감면 요건
  • 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1두3532 판결: 행정규칙에 근거한 처분이라도 권리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 행정처분
  • 대법원 2004. 11. 26. 선고 2003두10251, 10268 판결: 행정규칙에 근거한 처분이라도 권리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 행정처분
  • 대법원 1992. 1. 17. 선고 91누1714 판결: 행정처분 판단 기준
  • 대법원 2010. 11. 18. 선고 2008두167 전원합의체 판결: 행정처분 판단 기준

결론:

이 판례는 자진신고 감면 불인정 통지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감면 불인정에 불복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죠. 이를 통해 자진신고 감면 제도 운영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자진신고 감면 안 해준다고? 그럼 이렇게 해야지!

기업이 담합 행위를 자진 신고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감면을 해주지 않고 과징금을 부과한 경우, 감면 불인정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미 과징금 부과라는 최종 결정이 나왔기 때문에, 감면 불인정 자체를 다투기보다는 과징금 부과처분 자체의 위법성을 다투는 것이 올바른 구제 방법입니다.

#담합#자진신고#감면불인정#과징금

일반행정판례

담합 기업 자진신고 감면, 따로 심사하고 따로 소송할 수 있다!

기업의 담합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처분과 자진신고 감면 기각처분은 별개의 처분으로, 기업은 각 처분에 대해 따로 불복할 수 있다. 비등기 임원이 담합에 직접 관여한 경우 과징금 가중은 적법하다.

#담합행위#자진신고#감면기각#과징금

일반행정판례

자진신고 감면, 누설하면 받을 수 없을까?

건설사 담합 사건에서 자진신고를 했지만, 그 사실을 다른 담합 가담자에게 누설한 건설사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진신고자 감면 혜택을 주지 않은 처분은 정당하다고 대법원이 판결했습니다.

#부당공동행위#자진신고#감면 불인정#누설

일반행정판례

담합 적발 시 자진신고 감면, 어디까지 인정될까? 그리고 여러 번 담합하면 한 번으로 쳐줄까?

기업들이 담합(부당한 공동행위)을 했을 때, 공정거래위원회는 과징금을 부과하고, 자진신고한 기업에는 감면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과징금 부과 처분과 자진신고 감면 기각 처분을 별도로 다투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여러 번의 담합 행위가 하나의 담합으로 간주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징금#자진신고 감면#담합#분리소송

일반행정판례

담합은 하나로! 자진신고 감면은 누구에게?

여러 회사가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모여 가격 담합을 한 경우, 이를 하나의 위반행위로 보고 최초로 자진 신고한 회사에만 과징금 감면 혜택을 준다는 판결입니다. 나중에 신고한 회사는 최초 신고자가 참여하지 않은 이전 담합에 대해서도 감면받을 수 없습니다.

#가격 담합#최초 자진신고자 감면#과징금#저밀도 폴리에틸렌

일반행정판례

자진신고 후 과징금 감면, 그럼 처음 과징금 처분은 어떻게 되나요?

기업이 담합 등 불공정 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은 후 자진신고 등을 통해 과징금을 감면받을 경우, 처음 부과된 과징금 처분은 효력을 잃는다. 또한, 적법한 자진신고는 담합 행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 자진신고일이 담합 종료일이 된다.

#자진신고#과징금 감면#최초 과징금 처분 효력 상실#담합 종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