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범죄를 저지르는 걸 알면서도 바로 잡지 않고 더 많은 범죄를 저지르도록 내버려뒀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잡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수사가 위법하거나 함정수사에 해당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절도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수사기관이 자신의 범죄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바로 체포하지 않고 추가 범행을 지켜보다가 범죄 사실이 많아진 뒤에야 체포했다는 점을 들어 수사와 공소 제기가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쉽게 말해, "나를 빨리 안 잡고 더 훔치게 내버려 뒀으니 이건 함정수사다!"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수사기관이 공범이나 장물범의 체포 등을 위해 범인의 체포 시기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수사기법을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더 큰 범죄를 막거나 다른 범죄자를 잡기 위해 일부러 체포 시기를 늦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 사건에서 수사관들이 특진이나 수상 등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고의로 체포를 지연시켰다고 볼 만한 증거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즉, 나쁜 의도를 가지고 일부러 체포를 미룬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단순히 수사기관이 범죄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즉시 체포하지 않고 추가 범행을 지켜봤다는 사정만으로는 수사와 공소 제기가 위법하다거나 함정수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관련 법조항:
(참고: 판결요지와 참조판례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형사판례
경찰이 죄를 지을 생각이 없던 사람에게 덫을 놓아 죄를 짓게 만드는 함정수사는 위법하며, 이를 통해 얻은 증거로 기소된 경우 무죄가 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함정수사가 위법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범행을 부탁하는 것만으로는 함정수사가 아니며, 수사기관이나 그 관련자가 적극적으로 범의를 유발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형사판례
이미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잡기 위해 정보원을 이용해 검거 장소로 유인한 것은 함정수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수사기관이 유인책을 사용하여 범죄를 유발하는 함정수사의 위법성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1심의 공소기각 판결이 위법할 경우 항소심은 본안 판단 없이 사건을 1심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형사판례
경찰이 실적을 위해 함정수사로 도우미 알선을 유도한 경우, 이를 통해 얻은 증거는 위법하며 유죄로 인정될 수 없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함정수사로 얻은 증거는 무효이며, 이미 대법원에서 판단이 끝난 부분은 다시 다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