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4.28

일반행정판례

전상군경 상이등급 재분류, 누가 결정할까요?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은 전상군경은 상이등급에 따라 다른 보상을 받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상이처가 악화되거나, 처음에는 인정받지 못했던 상처가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상이등급을 다시 평가받을 수 있는데, 이를 상이등급 재분류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상이등급 재분류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례: 한 전상군경(원고)은 기존에 등록된 상이처 외에 다른 상처도 전투 중 입은 부상(전공상)이라고 주장하며 상이등급 재분류를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보훈지청장(피고)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원고는 보훈지청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보훈지청장의 '전공상 추가 인정 거부'가 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인지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원심은 보훈병원장의 상이등급재분류판정만이 행정처분이고, 보훈지청장의 거부는 단순한 절차상 행위일 뿐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이등급 재분류 결정권자:  기존에 전상군경으로 결정·등록한 권한은 국가보훈처장에게 있고, 이 권한은 지방보훈청장이나 보훈지청장에게 위임됩니다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6조, 제83조 제1항, 시행령 제102조 제2항). 따라서 상이등급 재분류(변경) 결정 역시 당초 처분권자인 지방보훈청장 등이 할 수 있습니다.

  2. 보훈병원장 판정의 성격: 상이등급 재분류 과정에서 보훈병원장이 실시하는 재분류신체검사와 판정은 상이등급 재분류를 위한 절차에 불과합니다. 그 자체로는 상이등급을 변경하는 효력을 갖는 행정처분이 아닙니다.

  3. 보훈지청장 거부의 성격:  전상군경의 상이등급 재분류 신청에 대한 보훈지청장의 거부는 단순한 절차상 행위가 아니라, 상이등급 재분류를 거부하는 최종적인 처분입니다. 따라서 이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입니다.

결론: 대법원은 보훈지청장의 거부가 행정처분임을 확인하고 원심판결을 파기했습니다.

참고: 이 판례는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1997. 1. 13. 법률 제529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과 관련 시행령 및 시행규칙, 상이등급구분신체검사시행세칙(1994. 12. 1. 국가보훈처훈령 제611호) 제7조, 행정소송법 제1조, 제2조, 그리고 대법원 1993. 5. 11. 선고 91누9206 판결을 참조하고 있습니다.

이 판례를 통해 상이등급 재분류 절차와 관련된 기관들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보훈지청장의 거부 행위가 곧바로 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임을 명확히 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인·경찰·소방관의 공상 인정, 등급 판정 전에 따질 문제 아닙니다!

군인, 경찰, 소방관이 공무 중 다쳤을 때 국가유공자로 인정받는 절차에서, 부상의 정도(상이등급)는 나중에 따로 판단해야 하며, 처음부터 고려하면 안 된다는 판결.

#군인#공상#상이등급#국가유공자

일반행정판례

군인연금 상이등급 판정,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군인연금에서 상이등급을 판정할 때 국방부의 '상이등급 판정기준 해설'은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법률 및 전문가 소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군인연금#상이등급#판정기준#해설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종합판정, 3등급 이상 차이나는 경우는?

국가유공자의 두 가지 상이가 3등급 이상 차이 날 경우, 더 높은 등급의 상이만 인정된다.

#국가유공자#상이등급#종합판정#3등급 차이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인정, 본인 과실 있다고 무조건 안될까?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에서 공무수행과 부상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법원이 직권으로 본인 과실을 이유로 국가유공자 비해당 결정을 정당화할 수 없다.

#국가유공자#직권심사#본인 과실#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뇌 손상 아니라고 배제하면 안 돼요!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시, 법령에 '중추신경계(뇌)' 관련 장애라고 쓰여있더라도, 실제로는 뇌가 아닌 다른 부위 (말초신경 등)의 장애도 포함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신경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뇌신경과 척추신경이라고만 쓰여있어도 말초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통도 포함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국가유공자#상이등급#법령해석#중추신경계

일반행정판례

군인연금 상이등급 개정, 어떤 경우에 가능할까?

이 판례는 군인연금 상이등급을 개정하기 위한 요건과 이전에 결정된 상이등급의 효력에 대해 다룹니다. 단순히 질병이나 부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거나 악화되었다고 등급을 바꿀 수는 없고,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거나 증상이 고정된 상태여야 합니다. 또한, 이미 확정된 이전 상이등급 결정의 잘못을 이유로 새로 결정된 등급 개정 자체를 다툴 수는 없습니다.

#군인연금#상이등급#개정 요건#이전 등급 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