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전세권 설정한 세입자, 배당요구 똑똑하게 하기!

전세 살면서 집이 경매에 넘어가는 끔찍한 상황, 상상만 해도 아찔하죠? 특히 전세권까지 설정해뒀다면 더욱 복잡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권 설정과 배당요구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통해 여러분의 소중한 전세금을 지키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중 신분, 이중 권리? 임차인과 전세권자

전세 계약을 하고 확실한 권리 보호를 위해 전세권 설정까지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세입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지위와, 전세권 설정으로 인한 전세권자의 지위를 동시에 갖게 됩니다. 마치 이중 신분처럼 보이지만, 이 두 권리는 별개의 권리입니다.

배당요구, 하나만 했다면?

만약 집이 경매에 넘어가서 돈을 돌려받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세입자는 임차인 자격으로 배당요구를 할 수도 있고, 전세권자 자격으로 배당요구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임차인 자격으로만 배당요구를 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자동으로 전세권자로서의 배당요구도 한 것으로 간주될까요?

대법원의 판단: 임차인 배당요구 ≠ 전세권자 배당요구

대법원은 이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았습니다. 임차인으로서 배당요구를 했다고 해서 전세권자로서의 배당요구까지 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09다40790 판결)

왜 그럴까요? 민사집행법 제91조 제3항과 제4항에 따르면, 저당권 등에 대항할 수 없는 전세권은 경매로 소멸하지만, 최선순위 전세권은 전세권자의 배당요구가 있어야만 소멸합니다. 배당요구를 하지 않으면 새로운 집주인이 전세권을 인수해야 합니다.

즉, 임차인으로서의 배당요구와 전세권자로서의 배당요구는 그 근거 법률과 성립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별개로 봐야 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려면?

전세권 설정 후 경매 상황에 놓였다면, 임차인과 전세권자, 두 가지 지위 모두를 고려하여 배당요구를 진행해야 합니다. 어떤 권리로 배당요구를 할지, 혹은 두 권리 모두로 배당요구를 할지 신중하게 판단하여 자신의 권리를 최대한 보호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상황에 맞는 최선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세금, 확실하게 지키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전세권 설정했는데, 임차인 배당요구하면 전세권은 어떻게 되나요?

전세권 설정 후 경매 시, 임차인 배당요구와 별도로 전세권에 대한 배당요구를 해야 전세권이 소멸되고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전세권#배당요구#임차인#별개권리

민사판례

경매로 날아간 전세권, 두 번 배당요구는 안돼요!

부동산 경매에서 전세권자가 배당요구를 하면 전세권은 소멸됩니다. 이는 첫 번째 경매에서 전세권자가 배당을 다 받지 못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경매#전세권#배당요구#소멸

상담사례

공매로 집이 넘어가도 내 전세금은 안전할까? - 전세권 설정의 중요성

전세권 설정 후 집이 공매로 넘어가도 전세권은 유지되며, 배당요구를 해도 전세권은 소멸하지 않고 새 집주인에게 잔액을 청구할 수 있다.

#전세권#공매#대항력#배당요구

상담사례

전세권 설정 후 배당 못 받으면? 다른 경매에서 또 배당요구 가능할까요?

전세권 설정 후 첫 경매에서 배당요구를 했으나 전액 배당받지 못했더라도, 전세권은 소멸되어 다른 경매에서 동일한 전세권으로 다시 배당요구를 할 수 없다.

#전세권#배당#경매#소멸

상담사례

전세권 설정했는데도 전세금 우선 배당 못 받는다고요?! 😱

전세권 설정 후 전출신고를 하면 임차인 대항력 상실로 전세금 우선변제권을 잃어 경매 시 전세금을 보호받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사 전 전세금 반환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전세권#우선변제권#대항력#전출신고

상담사례

전세집 경매? 가만히 있으면 땡! 배당요구 꼭 하세요!

전세집 경매 시, 전입신고/확정일자와 별개로 기한 내 법원에 '배당요구'를 해야만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전세#경매#배당요구#우선변제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