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에서 시세조종은 불법입니다. 시세를 조종해서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0도14637 판결)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JW중외제약 우선주와 코오롱 우선주를 대상으로 시세조종을 하여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피고인의 행위를 시세조종으로 인정하고, 그로 인해 얻은 이익을 계산하여 형을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익 계산 방식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쟁점: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은 '총수입 - 총비용'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주가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이 있다면, 이 계산 방식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호재 발표나 시장 전체의 상승세 때문에 주가가 오른 경우, 시세조종과 무관한 이익까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점을 지적하며,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을 계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특히 이 사건에서는 JW중외제약의 신약 개발 소식이 주가 급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고, 피고인이 그 소식을 이용해 이익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즉, 단순히 '총수입 - 총비용'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시세조종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이익만을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코오롱 우선주의 경우에는 시세조종 기간 전후의 주가 변동과 보통주와의 비교 등을 통해 시세조종과의 인과관계를 따져봐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이익 계산에 대한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결은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을 계산할 때 단순한 산술적 계산에 그치지 않고, 시세조종과의 인과관계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세조종행위에 대한 처벌의 정확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주가조작으로 얻은 이익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주가조작이 이미 진행 중일 때 공범으로 가담한 사람은 어느 시점부터 책임을 져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형사판례
주가조작으로 얻은 이익을 잘못 계산하여 벌금형이 과다하게 선고된 원심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한 사례입니다. 주가조작 이익 계산 시에는 미매도 주식의 평가이익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주식 시세조종 행위를 여러 번 반복했을 때 하나의 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시세조종으로 얻은 이익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또한, 공소장에 이익 금액이 명확하게 적시되지 않은 경우에도 처벌이 가능한지, 그리고 관련 법 조항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도 다룹니다.
형사판례
주가조작으로 얻은 이익에는 실현된 이익뿐 아니라 미실현 이익까지 포함되며, 이익 계산 시 주식 취득 목적에 따라 매수 단가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주가조작으로 얻은 이익은 단순히 매매차익만이 아니라, 주가조작 기간 동안의 모든 거래 이익과 주가조작 종료 시점에 보유 중인 주식의 평가이익까지 포함해야 한다. 하지만 이 판결에서는 계산을 잘못했더라도 피고인에게 유리한 계산이었기 때문에 판결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주식 시세조종 행위와 관련하여 자백의 신빙성 판단 기준, 시세조종 행위가 여러 번 반복되었을 때의 죄수 판단(포괄일죄), 시세조종의 목적 및 구성 요건, 시세조종 방조범에 대한 처벌, 그리고 불법 이득 계산 방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