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5.31

형사판례

주차된 트럭에서 발생한 사고, 운전자 아닌 사람에게도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이 적용될까?

오늘 살펴볼 판례는 주차된 트럭에서 발생한 사고에서 운전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이하 '특례법')이 적용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특례법은 교통사고 발생 시 피해자 구제를 위해 만들어진 법으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운전자를 형사 처벌하지 않고 보험 처리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런데 이 특례법이 운전자가 아닌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까요?

사건의 개요

오리농장에서 오리를 트럭에 싣는 작업 중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경사진 곳에 주차된 트럭에 오리를 옮기던 중 사고가 났는데, 이 사고로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트럭 운전자와 함께 작업을 지휘하던 작업팀장이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과 2심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트럭이 정차 상태였더라도 트럭의 이동 및 정차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이기 때문에 특례법상 '교통사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트럭이 보험에 가입되어 있었으므로, 운전자뿐 아니라 작업팀장에게도 특례법을 적용하여 공소를 기각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특례법 제4조 제1항은 차의 운전자에 대한 공소제기의 조건을 정한 것이라고 명시했습니다. 또한 특례법 제2조 제2호에서 정의하는 '교통사고'에서 '차의 교통'이란 차량을 운전하는 행위 및 그와 동일하게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밀접하게 관련된 행위를 포함한다고 해석했습니다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6도7272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작업팀장은 트럭을 운전하지 않았고, 단지 오리 상·하차 작업을 지휘했을 뿐입니다. 따라서 작업팀장은 특례법의 적용 대상인 '운전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비록 사고가 트럭 주변에서 발생했더라도, 작업팀장의 업무상 과실은 트럭 운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특례법이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결국 대법원은 작업팀장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핵심 정리

  •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은 원칙적으로 차의 운전자에게 적용됩니다.
  • '차의 교통'이란 차량 운전 및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행위를 포함합니다.
  • 운전자가 아닌 사람의 과실이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쳤더라도, 그 과실이 차량 운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면 특례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1조, 제2조 제2호, 제3조 제1항, 제4조 제1항, 형법 제268조,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

참고 판례: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6도7272 판결, 대법원 2016. 11. 24. 선고 2016도12407 판결

이 판례는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 외 다른 사람의 과실이 있더라도, 그 과실이 차량 운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꼼꼼히 살펴보아야 함을 알려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차 보험으로 남의 차 운전하다 사고났어요!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다른 자동차 운전담보 특약 해설)

자동차보험의 다른 자동차 운전 특약에서 '자동차 취급업무상 수탁받은 차를 운전하다 사고 낸 경우' 보상을 안 해주는 조항이 있는데, 이 조항이 적용되려면 단순히 자동차 관련 업무 중 수탁받은 차를 운전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업무적 성격, 운행 빈도 및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자동차보험#다른 자동차 운전 특약#수탁차량 운전사고#보상 제외

형사판례

주차된 화물차에서 떨어진 짐, 교통사고일까?

주차된 화물차에서 짐을 내리다가 떨어진 상자에 행인이 다쳤다면, 이는 '교통사고'로 보지 않고 일반적인 업무상 과실치상으로 본다는 판결.

#주차화물차#낙하물사고#교통사고불인정#업무상과실치상

민사판례

무면허 직원의 무단 운전, 보험사는 책임져야 할까?

운전 업무 이외의 일을 하는 무면허 직원이 허락 없이 회사차를 운전하다 사고를 낸 경우, 그 직원은 자동차보험의 보호 대상(피보험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보험회사는 배상 책임이 없다.

#무면허 운전#보험 불인정#구상권#피보험자

형사판례

횡단보도 사고, 보행자 옆 사람이 다쳐도 처벌받을까?

운전자가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사고를 냈을 때, 횡단보도를 건너던 보행자가 아닌 **제3자**가 다쳤더라도 운전자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횡단보도#보행자 보호의무#제3자#운전자 처벌

민사판례

밤에 주차된 트럭과의 교통사고, 누구의 잘까요?

밤에 도로 가장자리에 주차된 트럭을 승용차가 추돌한 사고에서, 주차된 트럭에도 안전조치 미흡에 따른 과실이 있는지, 그리고 중고차 손해배상액은 어떻게 산정하는지, 수리 기간 동안 대차료 청구가 가능한지에 대한 판결.

#야간주차#추돌사고#과실상계#중고차손해배상

민사판례

갓길 주차 트럭과 오토바이 사고, 트럭 주인의 책임은?

도로변에 주차된 트럭을 오토바이가 들이받은 사고에서, 트럭 운전자가 주차 시 주의의무를 다했다고 판단하여 트럭 소유주의 책임을 묻지 않은 사례입니다.

#주차 트럭#오토바이 충돌#트럭 소유주 면책#음주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