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11.29

특허판례

지하철 정보 시스템, 특허는 어떻게 보호받을까?

오늘은 지하철 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보 시스템, 그 특허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특허는 발명을 보호하는 제도이지만, 새로운 기술이라고 모두 특허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죠. 기존 기술보다 "진보성"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진보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꽤 복잡해서 종종 분쟁이 발생합니다. 특히 여러 요소가 결합된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더욱 그렇죠.

이번 사례는 바로 "궤도차량용 정보서비스 표시 시스템" 특허에 관한 분쟁입니다. 쉽게 말해 지하철 내부의 정보 화면 시스템이죠. 이 시스템은 여러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작동합니다. 그렇다면 특허의 진보성을 판단할 때 각각의 구성요소를 따로따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전체 시스템을 하나로 봐야 할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특허는 각각의 부품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부품 하나하나가 기존에 있던 기술이라 하더라도, 그것들을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효과를 낸다면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치 레고 블록처럼, 흔한 블록이라도 조립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물이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러한 원칙에 따라 "궤도차량용 정보서비스 표시 시스템" 특허의 진보성을 인정했습니다. 핵심 청구항(청구항 1)이 기존 기술보다 진보적이라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다른 청구항(청구항 2~9)들도 진보성이 인정되었습니다. 종속적인 구성요소들은 핵심 구성요소의 진보성에 따라 함께 보호받는다는 논리입니다.

이 판결은 특허법 제29조 제2항(특허 요건으로서의 진보성)에 근거하고 있으며, 유사한 판례로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후3284 판결,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후3277 판결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의 특허는 각 부품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을 기준으로 진보성을 판단해야 하며, 핵심 기술의 진보성이 인정되면 관련된 다른 기술들도 함께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기술 개발과 특허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판단: 전체를 봐야 할까, 부분을 봐야 할까?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발명인지 판단할 때는,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기술 사상과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여러 기존 기술들을 조합해서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특허#진보성#구성요소#유기적 결합

특허판례

네트워크 장비 통신 제어 특허, 진보성 인정될까?

네트워크 장비 간 통신을 제어하는 특허 발명의 일부는 기존 기술을 조합하면 쉽게 생각해낼 수 있어 특허로서의 가치(진보성)가 없지만, 일부는 새로운 기술이므로 특허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사례.

#네트워크 장비#통신 제어#특허#진보성

특허판례

특허, 얼마나 새로워야 받을 수 있을까?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LG전자가 개발한 음극선관 전자파 차폐 기술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구성과 효과 면에서 모두 현저하게 진보되었으므로 특허로서의 진보성이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

#음극선관#전자파 차폐#진보성#특허

특허판례

특허 심사 기준: 청구범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특허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다른 설명이나 도면으로 청구범위를 제한해서 해석하면 안 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허#특허청구범위 해석#진보성#특허법원

특허판례

손 보호구 특허, 그 진보성을 인정하다!

새로운 기능을 가진 손 보호구 발명이 기존 발명과 비교했을 때 충분히 차별성이 있어 특허로서의 진보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허의 핵심 기능을 제외하고 기존 발명과 비교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손보호구#특허#진보성#핵심기능

특허판례

특허, 당연히 포함되는 구성이라면 진보성 없다?

특허를 받으려는 발명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나 장치가 당연히 포함되는 경우, 그 부분은 새로운 것이 아니므로 특허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결입니다.

#진보성#무선단말기#특허#기본구성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