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10.25

형사판례

집행유예 기간 끝난 후 재심에서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받으면 불이익한가요?

오늘은 재심과 집행유예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집행유예 기간이 이미 끝난 후, 재심에서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는데, 이것이 불이익한 변경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원래 재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그 유예기간이 이미 지났습니다. 그런데 이후 재심에서 다시 집행유예 판결을 받게 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이것이 불이익한 변경이라고 주장하며 상고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재심에서 원판결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받았더라도, 집행유예 기간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피고인에게 불이익한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즉, 재심에서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것이 불이익한 변경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재심의 목적: 재심은 확정판결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구체적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재심은 원판결의 당부를 다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처음부터 다시 심리하는 완전히 새로운 절차입니다.
  • 재심판결의 효력: 재심판결이 확정되면 원판결은 효력을 잃습니다. 원판결의 효력 상실로 인해 피고인이 어떤 불이익을 입더라도, 이것이 재심에서 보호되어야 할 피고인의 법적 지위를 해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행유예의 성격: 원판결에서 선고된 집행유예는 원판결의 효력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재심판결이 확정되면 집행유예의 효과도 당연히 사라집니다. 이는 형의 집행이 중단된 것과는 다릅니다.
  •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재심에서는 원판결보다 무거운 형을 선고할 수 없습니다(형사소송법 제439조).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재심판결의 형이 원판결보다 가벼웠기 때문에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형사소송법 제420조(재심의 청구)
  • 형사소송법 제421조 제1항(재심청구권자)
  • 형사소송법 제438조 제1항(재심판결의 효력)
  • 형사소송법 제439조(재심에서의 형의 제한)
  • 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5도15782 판결

결론

이 판례는 재심과 집행유예의 관계, 그리고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후 재심에서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받는 것이 반드시 불이익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재심의 본질적인 목적과 재심판결의 효력을 고려할 때, 원판결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받았다면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재심과 집행유예, 그 얽히고설킨 이야기

재심 판결이 확정되면 원판결은 효력을 잃고, 집행유예 기간은 재심판결 확정일부터 새로 계산된다. 재심에서 형량이 줄어든 경우, 이러한 변화가 피고인에게 불리한 것은 아니다.

#재심#원판결 효력 상실#집행유예 기간#재심판결 확정일

형사판례

집행유예 기간 끝난 후 재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면 이중처벌일까?

여러 죄를 묶어서 하나의 형을 선고받은 확정판결에서 일부 죄에 대해서만 재심 사유가 있는 경우, 재심 법원은 재심 사유가 없는 죄에 대해서도 다시 형량을 정해야 하며, 이는 이중처벌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또한, 원래 판결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더라도 유예 기간이 지난 후 재심에서 새로운 형을 선고받는 경우, 재심에서 정한 형이 원래 형보다 무겁지 않다면 불이익변경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재심#일부범죄사실#집행유예#경과

형사판례

재심, 형벌 변경, 그리고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여러 죄를 저질러 하나의 형을 받은 확정판결에서 일부 죄에 대해서만 재심 사유가 있는 경우, 재심은 그 부분만 심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형량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폭력행위처벌법 개정으로 형벌이 줄어든 경우에는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하며, 재심에서 집행유예를 실형으로 바꾸는 것은 불이익변경금지원칙에 위배된다.

#재심#부분심리#폭력행위처벌법#형법

형사판례

집행유예 기간 끝나면, 그 기간 중 범죄도 다시 집행유예 가능? (O)

집행유예 기간 중에 새로운 죄를 저질렀더라도, 재판 중에 집행유예 기간이 끝나면 그 새 죄에 대해서도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다.

#집행유예#기간만료#재범#집행유예 가능

형사판례

집행유예 기간 끝나면 선고유예 받을 수 있을까?

과거에 집행유예를 받았고 그 기간을 무사히 마쳤더라도, 이후 다른 범죄를 저질렀을 때 선고유예를 받을 수는 없다.

#집행유예#선고유예#전과#형법

형사판례

집행유예 기간 끝나면 전과 없는 깨끗한 사람? 선고유예는 안돼!

과거에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그 유예기간이 끝나 형의 효력이 없어졌더라도, 이후 다른 범죄를 저질렀을 때 선고유예를 받을 수 없다.

#집행유예#선고유예#형효력 상실#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