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4.25

민사판례

크레인 임대 사고와 보험회사 책임: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관계

크레인 임대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해 보험회사의 책임 범위를 다룬 판례를 소개합니다. 이 사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관계, 그리고 보험약관의 효력에 대한 중요한 쟁점을 담고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건설회사 A는 크레인 회사 B로부터 기중기와 기사를 임대하여 작업 중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A 회사 직원 C가 다쳤고, A 회사는 C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했습니다. A 회사는 B 회사와 계약된 보험회사 D에 구상권을 청구했지만, D는 보험약관에 따라 면책을 주장했습니다.

쟁점

  • 보험약관의 효력: 보험계약자가 약관 내용을 몰랐더라도 약관은 효력이 있는가? 예외는 없는가?
  •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관계: 근로자가 산재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경우, 자동차보험에서 면책될 수 있는가? 이러한 약관 조항은 유효한가?
  • 승낙피보험자 해당 여부: A 회사가 크레인을 임대하여 사용한 경우, 자동차보험의 승낙피보험자에 해당하는가?

법원의 판단

  1. 보험약관의 효력: 보통보험약관은 계약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효력을 갖습니다. 계약자가 약관 내용을 몰라도 원칙적으로 구속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자 간에 다른 약정이 있거나, 약관의 내용이 불명확하거나 중요한 내용임에도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약관의 구속력이 배제될 수 있습니다. (민법 제105조, 상법 제638조, 제638조의3)

  2.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관계: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약관 조항은 피해자가 산재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근로자인 경우, 자동차보험의 대인배상 책임을 면책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법원은 이 조항이 산재보험으로 재해보상을 받도록 하고, 자동차보험은 제3자에 대한 배상책임을 전보하는 목적에 부합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 면책 조항은 상법 제659조, 제663조에 위반되지 않고,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7조 제2호에도 해당하지 않아 유효하다고 보았습니다. (상법 제638조, 제659조, 제663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조, 제5조,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7조 제2호)

  3. 승낙피보험자 해당 여부: 법원은 A 회사가 기중기와 기사를 함께 임대하여 자신의 관리와 책임 하에 작업을 했다면, 자동차보험 약관상 승낙피보험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결론

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C가 면책약관에서 정한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판례는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의 관계 및 보험약관의 해석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조 판례: 대법원 1990. 4. 27. 선고 89다카24070 판결,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6다19307 판결, 대법원 1999. 7. 23. 선고 98다31868 판결, 대법원 1989. 11. 14. 선고 88다카29177 판결, 대법원 1990. 12. 11. 선고 90다카26553 판결, 대법원 1992. 1. 21. 선고 90다카25499 판결, 대법원 1993. 11. 9. 선고 93다23017 판결, 대법원 1994. 1. 11. 선고 93다5376 판결, 대법원 1995. 4. 28. 선고 94다56791 판결, 대법원 1997. 8. 29. 선고 97다12884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로 인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 임대업자의 운전기사 과실로 재하청업체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보험금을 지급한 후 크레인의 보험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크레인 임대업자는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하청업체로 볼 수 없다.

#산재사고#크레인 임대#운전기사 과실#구상권

민사판례

직원이 다쳤을 때, 누가 책임져야 할까? -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의 관계

회사 차량으로 인한 사고에서 회사 직원이 다쳤을 경우, 자동차보험은 산재보험으로 처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당하다는 판결.

#산재사고#자동차보험#산재보험#구상권

민사판례

업무중 교통사고, 산재보험 받으면 자동차보험 못 받나요? (면책약관의 효력)

회사 차량 운전 중 사고로 일용직 근로자가 사망했을 때, 산재보험 보상범위를 초과하는 손해는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자동차보험 약관 중 산재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사람은 보상하지 않는다는 면책 조항은 부당하다고 판결.

#업무상재해#산재보험#자동차보험#초과손해

민사판례

산재보험 적용 안 되면 자동차보험 면책 안 된다!

산재보험 적용을 받지 않는 사업장에서 업무상 재해로 사망사고가 발생한 경우, 자동차보험에서 '피해자가 피보험자의 피용자로서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경우 보험사는 보상책임을 면한다'는 약관 조항을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즉, 산재보험 적용 대상이 아닌 사업장의 근로자가 업무 중 교통사고를 당하면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 미적용 사업장#업무상 재해#자동차보험 면책 불가#교통사고

민사판례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 둘 다 받을 수 있을까?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업무 중 교통사고를 당한 근로자는 산재보험으로 보상받아야 하므로, 가해 차량의 자동차보험은 보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상시 5인 이상'은 평균적으로 5인 이상이면 충족되며, 일용직도 포함됩니다. 또한, 산재보험 적용 사업장이라면 사업주가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산재보험#상시 5인 이상 사업장#업무 중 교통사고

상담사례

크레인 달린 내 화물차, 작업 중 자재 떨어뜨렸는데 보험처리 될까요? 😱

크레인 화물차로 작업 중 자재를 떨어뜨린 사고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한 사고로, '운송 중인 싣고 있던 물품 손해' 면책 조항에 해당하지 않아 보험 처리 가능성이 높다.

#크레인 화물차#자재 낙하#보험처리#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