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9.10

일반행정판례

택지 초과 소유 부담금, 땅 주인 마음대로 안된다?!

택지 소유 상한을 초과하면 부담금을 내야 한다는 건 알고 계시죠? 그런데 어떤 땅은 부담금을 안 내도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택지 초과소유 부담금과 관련된 법원의 판결을 살펴보고, 어떤 경우에 부담금을 내지 않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땅 주인 A씨는 여러 필지의 땅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중 일부가 택지 소유 상한을 초과했습니다. A씨는 초과 소유 부담금을 내지 않기 위해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는 건설기계 대여업체에 땅을 임대하고, 그곳을 주기장으로 사용했습니다. A씨는 건설기계 대여업체에 필요한 주기장으로 땅을 "이용·개발"하고 있으니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과연 A씨의 주장은 받아들여졌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과 시행령에 따르면, '이용·개발'은 택지취득허가기준(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11조 제1항 각 호)에 맞는 내용이어야 부담금 면제 사유가 됩니다.

건설기계 대여업자가 택지를 취득하여 직접 주기장으로 사용하는 것은 면제 사유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11조 제1항 제5호,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 제10조 제12호). 하지만 A씨처럼 개인이 땅을 소유하고 건설기계 대여업체에 임대하는 경우는 면제 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땅을 실제로 이용·개발하는 주체가 A씨 본인이 아니라 임차인인 건설기계 대여업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당 토지가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른 주기장 기준면적을 충족하더라도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에 따른 소유 상한을 초과한다면 부담금 부과 대상이 됩니다. 두 법률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한쪽이 우선 적용되는 관계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핵심 정리

  • 택지 초과 소유 부담금 면제를 위한 '이용·개발'은 택지취득허가기준에 부합해야 합니다. (대법원 1995. 11. 16. 선고 94누4257 전원합의체 판결 등)
  • 개인이 땅을 소유하고 건설기계 대여업체에 임대하여 주기장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부담금 면제 사유가 아닙니다.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누10191 판결, 대법원 1996. 2. 9. 선고 95누9228 판결 등)
  • 건설기계관리법상 주기장 기준면적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택지 소유 상한을 초과하면 부담금 부과 대상이 됩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택지 초과소유 부담금 면제 요건을 명확히 이해하고, 땅 소유와 관련된 법률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택지 소유 상한을 초과하는 땅을 가지고 있다면, 부담금 면제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조, 제3조, 제7조, 제11조 제1항, 제12조 제1항, 제19조, 제20조 제1항, 제24조, 제31조,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 제10조 제12호, 헌법 제11조, 제13조 제2항, 제23조 제1항, 제37조 제2항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택지 초과소유 부담금, 건축허가 제한된 땅에도 내야 할까?

건축허가가 제한된 땅은 택지 소유 상한을 초과하더라도 부담금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면제는 건축이 "불가능"한 땅에 적용되는데, 허가 제한은 건축이 "어려운" 상황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건축허가 제한#택지 소유 상한#부담금 면제#건축 불가능

일반행정판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면제받으려면?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은 필수!

단순히 주택을 임대한다고 해서 택지 초과소유부담금을 면제받는 것은 아니며, 법에서 정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요건을 갖춰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법 시행 이전부터 택지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법에서 정한 개발 목적에 맞게 사용하지 않으면 부담금을 내야 합니다.

#초과소유부담금#면제요건#주택임대사업자 등록#개발목적 사용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 초과에 따른 부담금, 어떤 경우에 내야 할까?

택지소유상한을 초과한 택지에 대한 부담금 부과 유예기간의 의미, 부담금 부과 대상 제외 요건, 그리고 가구 구성원별 부담금 안분 계산 방법에 대한 대법원 판결

#택지소유상한#부담금#유예기간#부과대상

일반행정판례

택지 소유 상한 초과 부담금, 아무 때나 매기는 게 아니에요!

택지를 허가받은 목적과 다르게 사용하거나 개발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판 경우, 취득일부터 부담금을 부과하도록 한 시행령 조항은 상위법의 위임 없이 국민에게 불리한 내용을 규정했으므로 무효이다.

#택지소유상한#부담금#시행령#무효

일반행정판례

땅 주인이라고 맘대로 못하는 땅? 초과소유부담금과 땅 사용의 딜레마

땅 주인이 땅을 팔려고 하는데 다른 사람이 소송을 걸어 처분금지가처분을 받았거나, 다른 사람이 그 땅에 건물을 짓고 나가지 않아 땅을 팔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는 택지초과소유부담금(땅을 너무 많이 가지고 있으면 내야 하는 세금)을 면제받을 수 없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처분금지가처분#면제#부담금 부과

일반행정판례

시장 용지에 택지 초과 소유 부담금을 내야 할까요?

도시계획시설인 시장 용지로 지정된 땅은 주택 건축이 금지되므로,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시장용지#도시계획시설#주택건축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