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은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둘 때 받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그런데 퇴직금 지급 날짜를 회사와 합의했더라도, 그 날짜까지 돈을 주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그 답을 알 수 있습니다.
퇴직금 지급, 14일 안에 해야!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이하 퇴직급여법)은 사용자가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퇴직급여법 제9조 제1항). 이 법은 근로자가 퇴직 후 생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고, 부당하게 회사에 얽매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퇴직금을 제때 받지 못하면 생계가 곤란해지고, 돈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회사에 남아있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급 기일 연장 합의? 그래도 안 주면 불법!
퇴직급여법에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당사자 간 합의로 지급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퇴직급여법 제9조 단서)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서 조항 때문에 회사가 퇴직금 지급을 무작정 미뤄도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최근 대법원은 연장된 지급 기일까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퇴직급여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회사 사정으로 퇴직금 지급이 어려워 근로자와 지급 기일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더라도, 약속한 날짜까지는 반드시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판결은 회사가 퇴직금 지급을 미루는 것을 막고, 근로자의 권리를 더욱 강력하게 보호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퇴직금은 근로자의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가이며, 회사는 이를 지급할 의무가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판결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참고: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 자문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형사판례
퇴직한 직원에게 14일 이내에 임금을 주지 않으면, 나중에 합의를 하더라도 임금체불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퇴직 시 받는 연말정산 환급금은 임금, 퇴직금 등과 마찬가지로 회사가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
생활법률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 시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14일 이내에 받을 권리가 있으며, 지급 지연 시 연 20%의 이자가 발생하고, 절반은 압류되지 않으며, 3년 안에 청구해야 하고, 회사 도산 시 우선 변제되며, 퇴직금 수령 후에도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하다.
형사판례
회사가 퇴직한 직원의 연말정산 환급금을 14일 안에 주지 않으면 법 위반입니다.
상담사례
13인 사업장에서 30년 이상 근무 후 퇴직금 미지급 시,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에 해당하는 근무 기간에 대해 법적으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계산 및 지원은 고용노동부에 문의해야 한다.
생활법률
직원 퇴사 또는 사망 시, 고용주는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등 모든 금품을 지급해야 하며, 미지급 시 연 20%의 지연이자를 지급하고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