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1.15

민사판례

퇴직금, 이것만 알면 된다! 석탄공사 퇴직금 분쟁 사례 분석

퇴직금,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관심 있는 주제죠? 오늘은 대한석탄공사 퇴직금 분쟁 사례를 통해 퇴직금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쟁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는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1. 불리한 퇴직금 규정 변경, 노조 동의는 필수!

대한석탄공사는 퇴직금 규정을 변경하면서 퇴직금 계산 기준(지급일수, 기초임금 범위)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바꿨습니다. 그런데 이 변경된 규정 중 '사원'에 대한 부분은 노동조합의 동의를 받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노조 동의 없이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퇴직금 규정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8조)

핵심 포인트: 퇴직금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려면 노동조합의 동의가 필수입니다!

2. 체력단련비, 입갱수당… 이것도 퇴직금 계산에 포함될까?

대한석탄공사는 전 직원에게 체력단련비, 입갱수당, 생산독려수당, 기술수당 등을 정기적, 계속적으로 지급해왔습니다. 이러한 수당들도 퇴직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포함될까요? 정답은 '포함된다'입니다. 법원은 이러한 수당들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의 성격을 가지므로 평균임금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95조)

핵심 포인트: 정기적, 계속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됩니다!

3. 식대보조비, 가족수당은 퇴직금 계산에서 제외해도 될까?

대한석탄공사는 노사 합의를 통해 식대보조비, 가족수당, 연료보조비를 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계산된 퇴직금이 법정 하한선을 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복리후생적 수당들을 평균임금 계산에서 제외해도 될까요? 법원은 노사 합의가 있었고, 최종 퇴직금이 법정 하한선을 넘는 경우에는 이러한 수당들을 제외해도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19조 제1항, 제20조, 제95조)

핵심 포인트: 노사 합의로 복리후생적 수당을 임금에서 제외하더라도, 최종 퇴직금이 법정 하한선을 넘어야 합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90.12.7. 선고 90다카1967 판결
  • 대법원 1987.2.24. 선고 84다카1409 판결
  • 대법원 1990.11.27. 선고 90다카23868 판결

이번 사례를 통해 퇴직금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기준들을 살펴봤습니다. 퇴직금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입니다.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보호받으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퇴직금 규정 변경과 각종 수당의 평균임금 포함 여부

이 판례는 회사가 퇴직금 규정을 불리하게 변경할 때 모든 직원 집단의 동의가 필요하며, 정기적·계속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퇴직금#규정개정#직원동의#평균임금

민사판례

회사가 마음대로 퇴직금 규정을 바꿀 수 있을까? -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는 수당은 무엇일까?

회사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취업규칙을 바꾸려면 근로자 동의를 받아야 하며,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수당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어야 한다.

#퇴직금#취업규칙 변경#근로자 동의#수당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기준이 뭐야? 🤔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여러 종류의 퇴직금 규정을 적용할 때, 법적으로는 가장 많은 직원에게 적용되는 규정을 모든 직원에게 적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직종별로 받는 수당이 다르다면, 단순히 최다수 직원의 규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그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퇴직금#최다수 근로자 규정#수당 차이#평균임금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회사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 퇴직금 규정 변경과 평균임금

회사가 근로자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퇴직금 규정을 바꾸려면 근로자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이 사건에서는 동의 없이 규정이 바뀌었고, 법원은 어떤 부분이 무효인지 판단했습니다. 또한 퇴직금 계산 기준인 평균임금에 어떤 수당들을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도 내렸습니다.

#퇴직금#규정 개정#근로자 동의#평균임금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어디까지 포함해야 할까? 🧮

이 판례는 퇴직금 계산 시 포함되는 임금의 범위, 회사가 정한 퇴직금 규정의 효력, 그리고 퇴직금 규정을 불리하게 변경할 때 필요한 절차에 대해 다룹니다.

#퇴직금#산정기준#규정변경#효력

민사판례

공기업 퇴직금 규정 변경, 근로자 동의 없이는 무효!

정부투자기관이라 하더라도 직원들에게 불리한 퇴직금 규정 변경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효력이 있습니다. 또한, 소송에서 채무자가 이행 의무에 대해 다투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는 법원이 판단합니다.

#정부투자기관#퇴직금#근로기준법#근로자 과반수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