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4.26

세무판례

특수관계인 부동산 거래, 가산세, 그리고 부당과소신고가산세에 대한 이야기

오늘은 특수관계인과의 부동산 거래, 가산세, 그리고 부당과소신고가산세에 대한 흥미로운 법원 판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꽤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특수관계인에게 부동산을 싸게 팔았다고 무조건 세금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사건은 한 생명보험 회사(대신생명보험)가 특수관계에 있는 증권회사(대신증권)에 부동산을 감정가보다 약 5% 낮은 가격에 판 것이 문제가 된 사례입니다. 세무서는 이 거래를 “부당행위계산 부인” 대상으로 보고 세금을 더 부과하려 했죠. 부당행위계산 부인이란, 특수관계인끼리 정상적인 거래보다 훨씬 유리하게 거래해서 세금을 줄이려는 경우, 세무서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세금을 다시 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 법인세법 제52조,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88조 제1항 제3호 참조)

하지만 법원은 대신생명보험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당시 경제 상황, 회사의 재정 상태, 거래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5% 정도 낮은 가격에 판 것이 "비정상적인 거래"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죠. 즉, 특수관계인과 거래했다고 해서 무조건 세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가산세는 고의·과실이 없어도 부과됩니다!

가산세는 세금 신고·납부 등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부과되는 추가 세금입니다. 이번 사건에서 중요한 점은 가산세 부과에 납세자의 고의나 과실이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법을 몰랐다는 것도 정당한 면제 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두10780 판결 참조)

부당과소신고가산세, 고의로 누락해야만 부과됩니다.

대신생명보험은 특별부가세 신고 과정에서 일부 부동산에 대한 양도차익을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법(구 조세특례제한법 제37조 제1항)에 따라 면제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세무서는 이를 “고의로 누락”한 것으로 보고 부당과소신고가산세(구 법인세법 제76조 제1항 제2호 (가)목,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18조 제4항 제6호, 구 법인세법 제102조 참조)를 부과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부분에서 대신생명보험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법령을 잘못 해석해서 신고하지 않은 것은 “고의적인 누락”이 아니라고 본 것입니다. 부당과소신고가산세는 적극적으로 자료를 숨기거나 조작하는 등 "고의"로 과소신고한 경우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 판결입니다.

이번 판결은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가산세, 부당과소신고가산세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관련된 상황에 놓이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특수관계 회사에 부동산 싸게 팔았다면? 세금 폭탄 맞을 수도!

회사가 특수관계인에게 자산을 시세보다 싸게 팔아서 세금을 줄이려고 했을 때, 세무서는 시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고, 이때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인정된다. 또한, 이렇게 줄어든 세금에 대해서는 가산세(중과세)를 부과할 수 있다.

#부당행위계산부인#법인세#시가#감정가격

세무판례

특수관계자 거래와 세금, 어디까지가 정상일까? (부당행위계산 부인)

회사가 특수관계자(계열사 등)에게 시장 가격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한 경우, 세무서가 세금을 더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실제 거래 가격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수관계자#저가거래#세금부과#부당행위계산부인

세무판례

내 가족 회사에 부동산 싸게 팔았다고 세금 더 내라고? 특수관계인과 부당행위계산 부인

가족이 30% 이상 지분을 소유한 회사라 하더라도, 세금을 줄이기 위한 부당한 거래로 간주하려면 실제로 그 가족 구성원이 회사 경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 단순히 가족이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며, 구체적인 경영 개입 여부를 입증해야 함.

#부당행위계산부인#경영지배력#특수관계인#가족회사

세무판례

특수관계인 간 토지 거래, 세금 줄이려다 더 내는 경우도 있다?! 부당행위계산 부인

특수관계자 간에 토지 거래를 할 때, 세금을 줄이기 위해 시세보다 훨씬 싸게 거래한 경우, 세무 당국은 이를 부당행위로 보고 시가(시세)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당행위 여부는 **거래 당시** 시세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부당행위로 판단될 경우 양도가액(판 가격)은 **대금청산일(실제로 돈을 주고받은 날)**이 속한 연도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특수관계자#토지거래#부당행위계산부인#시가

세무판례

회사돈으로 임원 배불리기? 안돼요! 부당행위계산 부인

회사가 다른 회사의 주식과 경영권을 팔 때 발생한 경영권 프리미엄을 회사 이사들이 부당하게 나눠가졌다면, 세무서에서 회사에 추가 법인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경영권 프리미엄#부당이득#법인세#부당행위계산부인

세무판례

부당행위계산 부인, 진짜 부당한 걸까? 분양대행 수수료와 세금 이야기

특수관계인 간의 분양대행계약에서 발생한 수수료가 부당행위계산 부인 대상인지 여부는 거래의 경제적 합리성을 따져 판단해야 한다. 단순히 특수관계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부당행위로 볼 수 없으며, 거래의 전체적인 상황과 목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분양대행수수료#부당행위계산부인#특수관계인#경제적합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