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10545

선고일자:

2007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특수관계인에게 감정가액의 95% 정도의 가격으로 부동산을 매도한 행위가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 부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2] 가산세부과에 납세자의 고의·과실을 요하는지 여부(소극) 및 법령의 부지·착오가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3] 특별부가세의 부당과소신고가산세 산정에 준용되는 구 법인세법 제76조 제1항 제2호 (가)목,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18조 제4항 제6호에 정한 ‘기타 익금을 고의로 누락하여 과소신고를 한 경우’의 의미 및 법령의 부지·착오로 신고대상이 아니라고 오인하여 과소신고한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법인세법(2001. 12. 31. 법률 제65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2조, 구 법인세법 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8조 제1항 제3호 / [2] 구 법인세법(2001. 12. 31. 법률 제65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6조 / [3] 구 법인세법(2001. 12. 31. 법률 제65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6조 제1항 제2호(현행 삭제), 제102조(현행 삭제), 구 법인세법 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8조 제4항 제6호

참조판례

[2]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두10780 판결(공2004하, 124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파산자 대신생명보험 주식회사의 소송수계인 파산관재인 예금보험공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새시대 담당변호사 최재경)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동작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7. 21. 선고 2004누16258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피고의 상고를 기각한다. 원심판결의 원고 표시 및 이유 중 ‘대신생명 주식회사’를 ‘대신생명보험 주식회사’로 경정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그 채용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대신생명보험 주식회사(이하 ‘대신생명보험’이라 한다)가 이 사건 부동산을 특수관계인인 대신증권 주식회사(이하 ‘대신증권’이라 한다)에 양도할 당시의 우리 경제의 전반적 상황, 대신생명보험의 재정상태, 대신증권과의 매매계약 체결 경위 및 승인과정, 결정된 매매대금의 액수 등 이 사건 변론에 나타난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보면, 대신생명보험이 대신증권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감정평가액의 약 95% 정도의 가격으로 매도한 행위가 건전한 사회통념이나 상관행에 비추어 경제적 합리성을 결여한 비정상적인 행위로서 법인세법 소정의 부당행위계산 부인의 대상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는바, 관계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판단누락 또는 부당행위계산 부인의 적용 여부에 관한 법리 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가산세 면제사유로서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 여부 세법상 가산세는 과세권의 행사 및 조세채권의 실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납세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법에 규정된 신고, 납세 등 각종 의무를 위반한 경우에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하는 행정상 제재로서 납세자의 고의·과실은 고려되지 아니하고 법령의 부지·착오 등은 그 의무위반을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두10780 판결 참조). 원심은, 대신생명보험이 단순한 조세법령의 부지 또는 착오로 인하여 선릉사옥과 광주사옥(이하 ‘선릉사옥 등’이라고만 한다)에 관하여 특별부가세의 과세표준 신고를 누락한 것에 불과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사정만으로는 납세의무자가 그 의무를 게을리 한 점을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가산세 면제사유로서 정당한 사유에 관한 법리 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나. 부당과소신고가산세의 적용 여부 (1) 구 법인세법(2001. 12. 31. 법률 제65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법’이라고 한다) 제102조에 의하여 특별부가세의 부당과소신고가산세 산정에 준용되는 구법 제76조 제1항 제2호 (가)목, 구 법인세법 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시행령’이라 한다) 제118조 제4항 제6호 소정의 ‘기타 익금을 고의로 누락하여 과소신고를 한 경우’라 함은 ‘특별부가세의 납세의무자가 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소득이 신고대상임을 알고서도 적극적으로 양도소득의 근거자료를 은폐,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양도가액을 과소신고한 경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법령의 부지나 착오로 인하여 신고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오인하여 과소신고를 한 경우는 이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증거를 종합하여, 대신생명보험은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특별부가세를 신고하면서 선릉사옥 등의 양도차익에 관한 특별부가세액은 구 조세특례제한법(2000. 12. 29. 법률 제62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1항에 의하여 면제되므로 이에 관한 과세표준신고가 필요 없다고 판단하여 특별부가세 과세표준으로 신고하지 아니함으로써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특별부가세를 과소신고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사유로 인한 과소신고는 특별부가세의 부당과소신고가산세의 요건인 구시행령 제118조 제4항 제6호의 ‘기타 익금을 고의로 누락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그 가산세율은 구법 제76조 제1항 제2호 (가)목 본문에 따라 100분의 30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대신생명보험이 선릉사옥 등에 관한 양도차익을 특별부가세 과세표준으로 신고하지 아니함으로써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특별부가세를 과소신고한 것은 법령의 부지나 착오에 기인한 것으로서 위와 같은 사유는 구시행령 제118조 제4항 제6호 소정의 ‘기타 고의로 익금을 누락한 경우’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와 달리 본 원심판단에는 특별부가세에 있어서 부당과소신고가산세 적용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고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며 피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한편 원심판결에 명백한 오기가 있어 직권으로 경정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특수관계 회사에 부동산 싸게 팔았다면? 세금 폭탄 맞을 수도!

회사가 특수관계인에게 자산을 시세보다 싸게 팔아서 세금을 줄이려고 했을 때, 세무서는 시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고, 이때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인정된다. 또한, 이렇게 줄어든 세금에 대해서는 가산세(중과세)를 부과할 수 있다.

#부당행위계산부인#법인세#시가#감정가격

세무판례

특수관계자 거래와 세금, 어디까지가 정상일까? (부당행위계산 부인)

회사가 특수관계자(계열사 등)에게 시장 가격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한 경우, 세무서가 세금을 더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실제 거래 가격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수관계자#저가거래#세금부과#부당행위계산부인

세무판례

내 가족 회사에 부동산 싸게 팔았다고 세금 더 내라고? 특수관계인과 부당행위계산 부인

가족이 30% 이상 지분을 소유한 회사라 하더라도, 세금을 줄이기 위한 부당한 거래로 간주하려면 실제로 그 가족 구성원이 회사 경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 단순히 가족이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며, 구체적인 경영 개입 여부를 입증해야 함.

#부당행위계산부인#경영지배력#특수관계인#가족회사

세무판례

특수관계인 간 토지 거래, 세금 줄이려다 더 내는 경우도 있다?! 부당행위계산 부인

특수관계자 간에 토지 거래를 할 때, 세금을 줄이기 위해 시세보다 훨씬 싸게 거래한 경우, 세무 당국은 이를 부당행위로 보고 시가(시세)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당행위 여부는 **거래 당시** 시세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부당행위로 판단될 경우 양도가액(판 가격)은 **대금청산일(실제로 돈을 주고받은 날)**이 속한 연도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특수관계자#토지거래#부당행위계산부인#시가

세무판례

회사돈으로 임원 배불리기? 안돼요! 부당행위계산 부인

회사가 다른 회사의 주식과 경영권을 팔 때 발생한 경영권 프리미엄을 회사 이사들이 부당하게 나눠가졌다면, 세무서에서 회사에 추가 법인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경영권 프리미엄#부당이득#법인세#부당행위계산부인

세무판례

부당행위계산 부인, 진짜 부당한 걸까? 분양대행 수수료와 세금 이야기

특수관계인 간의 분양대행계약에서 발생한 수수료가 부당행위계산 부인 대상인지 여부는 거래의 경제적 합리성을 따져 판단해야 한다. 단순히 특수관계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부당행위로 볼 수 없으며, 거래의 전체적인 상황과 목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분양대행수수료#부당행위계산부인#특수관계인#경제적합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