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1.14

특허판례

특허 거절, 절차 제대로 지켜야죠!

특허 출원을 했는데 거절당했다면 정말 속상하겠죠. 하지만 거절에도 절차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단순히 거절하는 것만이 아니라, 왜 거절되는지 출원인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허 거절 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거절 이유, 명확하게 알려줘야!

특허 심사 과정에서 거절 이유가 발견되면, 심사관은 출원인에게 그 이유를 통지하고 의견서를 제출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이는 구 특허법(1990. 1. 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82조 제2항(현행 제63조 참조)에 명시되어 있죠. 항고심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원래 거절 사유와 다른 새로운 거절 이유가 발견되면, 역시 출원인에게 알리고 의견을 들을 기회를 줘야 합니다 (구 특허법 제134조, 현행 제170조 제2항 참조).

왜 이런 절차가 필요할까요? 특허 심사는 전문적인 영역입니다. 심사관이 모든 전문 지식을 갖추기는 어렵죠. 따라서 출원인에게 충분한 설명 기회를 주지 않고 바로 거절하는 것은 너무 가혹합니다. 출원인은 거절 이유를 정확히 알고 대응할 권리가 있습니다.

판례는 어떻게 말할까?

대법원은 이러한 원칙을 여러 판례에서 강조해 왔습니다 (대법원 1989. 8. 8. 선고 88후950 판결, 1994. 6. 28. 선고 92후1066 판결, 1999. 11. 12. 선고 98후300 판결). 한 사례를 살펴볼까요? 출원인이 특허 출원을 했는데, 처음에는 특정 방법에 대한 발명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습니다. 그런데 항고심판에서는 갑자기 장치 발명이라는 전혀 다른 이유로 거절당했죠. 대법원은 이러한 경우, 출원인에게 새로운 거절 이유에 대해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주지 않은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했습니다.

결론: 절차적 정당성, 꼭 기억하세요!

특허 출원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입니다. 하지만 정당한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면, 출원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욱 공정한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특허 거절을 당했다면, 거절 이유를 꼼꼼히 확인하고 의견 제출 기회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거절, 절차적 정당성도 중요하다!

특허 심사 과정에서 새로운 거절 이유를 제시할 경우, 출원인에게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이는 특허 심사의 전문성과 출원인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합니다.

#특허#거절이유 변경#의견제출 기회 보장#파기환송

특허판례

특허 거절, 제대로 알고 대응하자! - 거절 이유 변경과 출원인의 의견 진술 기회

특허 출원을 거절할 때는 출원인에게 명확한 거절 이유를 알리고 의견 제출 기회를 줘야 하며, 특허 청구항은 각각 독립적으로 심사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특허#거절이유 통지#의견제출 기회#청구항별 심사

특허판례

상표출원 거절, 절차적 정당성을 지켜야 합니다!

상표 등록 심사 과정에서 미리 알려주지 않은 거절 이유를 가지고 나중에 심판 단계에서 상표 등록을 거절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결입니다. 출원인에게는 의견을 제출하고 수정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상표 등록 거절#심사 단계#심판#거절 이유

특허판례

특허 거절 심판, 새로운 의견 제출 기회는 언제 필요할까?

특허 출원이 거절되었을 때, 심판 과정에서 기존 거절 이유와 본질적으로 같은 이유로 기각한다면, 출원인에게 새로운 거절 이유를 다시 통지하고 의견 제출 기회를 줄 필요는 없다.

#특허#거절심판#새로운 거절이유#통지의무

특허판례

특허청의 거절 이유, 얼마나 자세해야 할까?

특허청이 특허나 실용신안 출원을 거절할 때 보내는 거절이유 통지서는, 전문가가 그 취지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지나치게 상세할 필요는 없다는 판결.

#거절이유통지#상세성#전문가#실용신안

특허판례

실용신안 거절, 절차적 문제는 없을까?

특허청 심사관은 실용신안 등록을 거절할 때 출원인에게 거절 이유를 알려주고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줘야 하지만, 항고심에서는 1심에서 알려주지 않은 새로운 거절 이유를 1심과 같은 이유로 거절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다시 알려줄 필요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실용신안#거절이유 통지#항고심#특허심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