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1.13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판단, 어떻게 해야 할까?

특허를 받으려면 새로운 기술이어야 한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새롭기만 하면 충분할까요? 아닙니다. 기존 기술보다 '진보'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 '진보성'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진보성 판단, 핵심은 '통상의 기술자'

특허 심사에서는 가상의 인물인 '통상의 기술자'가 등장합니다. 이 사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평균적인 지식과 능력을 가진 전문가를 상징합니다. 진보성은 바로 이 통상의 기술자가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발명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판단됩니다.

대법원, 진보성 판단의 두 가지 중요 원칙 제시

이번 대법원 판결은 진보성 판단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1. 사후 판단 금지: 새로운 발명이 공개된 에 그것을 보고 "아, 이 정도는 쉽게 만들 수 있겠네"라고 생각하는 것은 안됩니다. 진보성은 특허 출원 당시의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즉, 이미 결과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쉽게 보인다고 해서 진보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특허법 제29조 제2항, 대법원 2009. 11. 12. 선고 2007후3660 판결, 대법원 2018. 12. 13. 선고 2016후1840 판결)

  2. 전체적인 맥락 고려: 기존 기술(선행기술)과 새로운 발명을 비교할 때, 기존 기술의 일부분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기존 기술 전체를 보고 통상의 기술자가 어떻게 이해할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정 부분만 발췌하여 진보성을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특허법 제29조 제2항, 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3후2873, 2880 판결)

사례 분석: 철 합금 시트 표면처리 방법

이번 판결은 철 합금 시트의 표면처리 방법에 대한 특허 출원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원심(특허법원)은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발명이 쉽게 도출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진보성을 부정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이 기존 기술의 일부분만 보고 판단했으며, 새로운 발명의 내용을 알고 난 후 쉽게 보인다는 이유로 진보성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며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결론: 진보성 판단, 신중하고 객관적인 접근 필요

진보성 판단은 특허 취득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대법원 판결은 진보성 판단에서 사후 판단을 금지하고, 기존 기술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는 중요한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특허 심사 과정에서는 이러한 원칙들을 숙지하고 신중하고 객관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새로운 발명, 얼마나 새로워야 특허가 될까? 진보성 판단 이야기

기존 조직거상용 이식물과 차별화된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이식물의 특허는 진보성이 인정되어 유효하다. 단순히 새로운 발명의 내용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존 기술로 쉽게 만들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접근이다.

#조직거상용 이식물#특허#진보성#유효

특허판례

새로운 발명, 진짜 새로운 걸까? 진보성 판단 기준!

새로운 발명이 기존 기술보다 진보적인지 판단할 때는 단순히 일부 내용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기존 기술 전체를 보고 관련 분야 전문가가 그 발명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진보성#선행기술#전문가#종합적 판단

특허판례

특허, 얼마나 새로워야 받을 수 있을까?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LG전자가 개발한 음극선관 전자파 차폐 기술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구성과 효과 면에서 모두 현저하게 진보되었으므로 특허로서의 진보성이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

#음극선관#전자파 차폐#진보성#특허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판단: 전체를 봐야 할까, 부분을 봐야 할까?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발명인지 판단할 때는,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기술 사상과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여러 기존 기술들을 조합해서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특허#진보성#구성요소#유기적 결합

특허판례

특허 출원 심사, 얼마나 꼼꼼해야 할까? - 신규성, 진보성 판단 기준과 거절 이유 통지

이 판례는 특허 출원 발명의 신규성과 진보성을 판단할 때 인용되는 발명의 명확성 기준과, 특허 심판 절차에서 거절 이유가 변경될 경우 출원인에게 의견 제출 기회를 줘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신규성#진보성#인용발명#명확성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어디까지 인정될까? - 기존 기술 조합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새로운 발명이라고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에 알려진 기술들을 단순히 조합한 것에 불과하다면, 그 조합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엄청난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한 특허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특허#진보성#기존 기술 조합#예상치 못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