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2.27

일반행정판례

폐업한 회사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 가능할까요?

회사가 문을 닫으면 직원들은 어떻게 될까요? 특히, 부당하게 해고되었다고 생각하는 직원이라면 더욱 막막할 겁니다. 오늘은 회사 폐업과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에 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병원의 직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단체교섭을 요구했습니다. 그런데 병원 경영자는 노조를 싫어해서 병원 문을 닫고 모든 직원을 해고했습니다. 해고된 직원 중 노조 지도부였던 원고는 부당노동행위라며 구제신청을 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병원 폐업이 위장 폐업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진짜로 폐업을 했다면, 복직할 회사가 없어졌기 때문에 구제신청은 실익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즉, 부당해고를 당했더라도 회사가 없어졌으니 복직을 명령할 수도 없고, 따라서 구제신청 자체가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이 사건과 관련된 법 조항은 노동조합법 제40조입니다. (본 판례에서는 제40조의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하지 않았으므로, 본문에도 해당 조항 내용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핵심 정리

  • 회사가 진짜로 폐업한 경우, 부당노동행위로 해고되었더라도 구제신청이 실익이 없을 수 있습니다.
  • 복직할 회사가 없어졌기 때문에 구제가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 다만, 위장 폐업인 경우에는 다른 판단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회사 폐업 후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폐업했다고 해서 모든 구제신청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실제 폐업인지 위장 폐업인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회사 폐업으로 근로관계 끝났다면, 부당해고 구제 신청은?

부당해고를 당했다고 소송을 진행하는 중에 근로계약 기간이 만료되거나 회사가 폐업하는 등의 이유로 근로관계가 종료되면, 더 이상 해고 무효 소송을 진행할 실익이 없어진다는 판례입니다.

#해고무효소송#근로계약종료#구제이익소멸#임금청구소송

일반행정판례

사업장 폐쇄 후 부당해고 구제신청, 받아들여질까?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지만, 신청 당시 이미 정년, 근로계약 만료, 회사 폐업 등으로 근로자 지위를 잃었다면 구제명령을 받을 실익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부당해고#구제신청#근로계약 종료#구제이익 소멸

일반행정판례

회사가 없어졌는데, 부당해고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회사가 해산하고 청산까지 끝난 경우,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가 소송에서 이겨도 복직이나 밀린 임금을 받을 수 없으므로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다는 판결.

#회사 해산#청산#부당해고#소송 실익 없음

민사판례

노조 갈등으로 회사 문 닫아도 괜찮을까? - 정당한 폐업과 위장폐업

회사는 노조의 불법적인 쟁의행위와 조합원 간의 갈등으로 장기 조업 중단 사태를 겪게 되자 사원총회를 통해 폐업을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폐업이 경영상의 자유에 속하는 정당한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노조 갈등#장기 조업중단#폐업#경영상 자유

일반행정판례

부당해고 구제신청, 복직 불가능해도 소송할 수 있을까?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진행하는 도중에 정년퇴직, 계약기간 만료 등으로 복직이 불가능해지더라도, 해고기간 동안의 임금을 받을 필요가 있다면 소송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부당해고#구제신청#계약기간 만료#소의 이익

일반행정판례

노동조합, 부당해고 구제신청 할 수 있을까?

부당해고를 당한 조합원을 위해 노동조합이 직접 구제신청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로, 노동조합은 구제신청 자격이 없다는 결론입니다. 구제신청은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 본인만이 할 수 있습니다.

#노동조합#부당해고 구제신청#자격 없음#근로자 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