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통신매체이용음란)·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모욕·협박

사건번호:

2020도3705

선고일자:

202306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포괄일죄 관계인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되거나 약식명령이 확정되었는데 그 사실심 판결선고 시 또는 약식명령 발령 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이 포괄일죄의 일부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그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도 해당하는 경우, 확정된 판결 내지 약식명령의 기판력이 위와 같이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 대하여도 미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포괄일죄 관계인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는 사실심 판결선고 시를 기준으로, 약식명령이 확정된 경우에는 약식명령 발령 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에 대하여는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친다. 또한 상상적 경합범 중 1죄에 대한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다른 죄에 대하여도 미친다. 따라서 포괄일죄 관계인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되거나 약식명령이 확정되었는데 그 사실심 판결선고 시 또는 약식명령 발령 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이 포괄일죄의 일부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그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도 해당하는 경우에는 확정된 판결 내지 약식명령의 기판력은 위와 같이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 대하여도 미친다.

참조조문

형법 제37조, 제40조,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4. 8. 9. 선고 94도1318 판결(공1994하, 2317), 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6도6273 판결, 대법원 2007. 2. 23. 선고 2005도10233 판결,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9도39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서부지법 2020. 2. 13. 선고 2019노16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포괄일죄 관계인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는 사실심 판결선고 시를 기준으로, 약식명령이 확정된 경우에는 약식명령 발령 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에 대하여는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친다(대법원 1994. 8. 9. 선고 94도1318 판결,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9도39 판결 등 참조). 또한 상상적 경합범 중 1죄에 대한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다른 죄에 대하여도 미친다(대법원 2007. 2. 23. 선고 2005도10233 판결 등 참조). 따라서 포괄일죄 관계인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되거나 약식명령이 확정되었는데 그 사실심 판결선고 시 또는 약식명령 발령 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이 포괄일죄의 일부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그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도 해당하는 경우에는 확정된 판결 내지 약식명령의 기판력은 위와 같이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다른 죄에 대하여도 미친다(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6도6273 판결 참조). 2.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원심 판시 별지 범죄일람표1 순번 1 내지 7 기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통신매체이용음란) 부분, 원심 판시 별지 범죄일람표2 순번 2 내지 8 기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명예훼손) 부분, 원심 판시 별지 범죄일람표3 순번 1 내지 4 기재 모욕 부분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의 ‘확정판결이 있는 때’에 해당한다고 보아 주문 또는 이유에서 면소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상상적 경합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한편 검사는 원심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고하였으나, 유죄 부분에 관하여는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 불복이유를 기재하지 않았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조재연(주심) 민유숙 천대엽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직원의 횡령, 여러 번이라도 한 번의 죄일 수 있다?

여러 번 횡령한 경우, 그 행위들이 하나의 죄로 묶일 수 있는지(포괄일죄), 그리고 일부 횡령에 대해 이미 벌금형을 받았다면 나머지 횡령에 대해서는 처벌할 수 없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횡령#포괄일죄#면소#벌금형

형사판례

한 번에 여러 물건 횡령하면 죄가 여러 개일까? - 횡령죄와 상상적 경합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물건을 여러 개, 한꺼번에 팔아버린 경우, 빌려준 사람이 여러 명이라도 횡령죄는 하나로 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상상적 경합)

#횡령#상상적 경합#실체적 경합#형법 제40조

형사판례

포괄일죄와 실체적 경합범, 그리고 누범

여러 건의 사기 사건에서 각 범행이 포괄일죄인지 실체적 경합범인지, 그리고 누범 기간과 범행 시기의 관계에 따른 누범 적용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사기#포괄일죄#실체적 경합범#누범

형사판례

한 번의 행패, 두 번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업무방해와 상상적 경합

한 사건에서 피고인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여러 사람에게 행패를 부려 업무를 방해한 경우, 이를 여러 개의 업무방해죄로 따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이미 한 번 처벌받은 행위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할 수 없다는 '기판력' 원칙이 적용됩니다.

#업무방해#상상적 경합#기판력#형법 제40조

형사판례

게임장 불법 경품 지급, 언제까지 하나로 볼 수 있을까? (포괄일죄 vs. 실체적 경합범)

불법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장이 단속 후 영업을 재개할 때마다, 이는 새로운 범죄로 간주된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하나의 긴 범죄가 아니라, 단속될 때마다 범죄 의도가 새롭게 생긴 것으로 본 사례.

#게임장#불법경품#반복단속#별개범죄

형사판례

돈 여러 번 뜯어냈다고 다 포괄일죄는 아닙니다! 사기죄, 포괄일죄 인정되려면?

여러 번의 사기 행위가 하나의 죄(포괄일죄)로 인정되려면 단일하고 계속된 범죄 의도가 있어야 하며, 이를 판단할 때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원심은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파기 환송되었다.

#포괄일죄#사기#경합범#범죄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