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함정수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뉴스나 드라마에서 종종 등장하는 함정수사, 과연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판례를 통해 함정수사의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쉽게 말해, 함정수사는 원래 범죄를 저지를 생각이 없었던 사람에게 수사기관이 함정을 파서 죄를 짓게 만드는 수사 방법입니다. 마치 낚시처럼 미끼를 던져 물고기가 걸려들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법원은 함정수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함정수사는 본래 범의를 가지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수사기관이 사술이나 계략 등을 써서 범의를 유발케 하여 범죄인을 검거하는 수사방법을 말하는 것이므로, 범의를 가진 자에 대하여 범행의 기회를 주거나 범행을 용이하게 한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함정수사라고 말할 수 없다.
즉, 이미 범죄를 저지를 생각이 있었던 사람에게 단순히 범행 기회를 제공하거나 범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은 함정수사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원래 범죄 생각이 없던 사람"**에게 "수사기관이 유도해서" 범죄를 저지르게 했는지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경찰이 마약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억지로 마약을 권유하여 마약을 하게 만드는 것은 함정수사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마약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마약을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함정수사가 아닙니다.
이러한 함정수사의 개념은 형법 제13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형법 제13조 내용은 이 글의 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생략합니다.) 또한, 대법원의 여러 판례에서도 함정수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관련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함정수사는 범죄 예방이라는 공익과 개인의 기본권 보호라는 사익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 글을 통해 함정수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형사판례
경찰이 죄를 지을 생각이 없던 사람에게 덫을 놓아 죄를 짓게 만드는 함정수사는 위법하며, 이를 통해 얻은 증거로 기소된 경우 무죄가 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함정수사가 위법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범행을 부탁하는 것만으로는 함정수사가 아니며, 수사기관이나 그 관련자가 적극적으로 범의를 유발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형사판례
이미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잡기 위해 정보원을 이용해 검거 장소로 유인한 것은 함정수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수사기관이 유인책을 사용하여 범죄를 유발하는 함정수사의 위법성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1심의 공소기각 판결이 위법할 경우 항소심은 본안 판단 없이 사건을 1심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함정수사로 얻은 증거는 무효이며, 이미 대법원에서 판단이 끝난 부분은 다시 다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형사판례
이미 마약을 하려는 생각이 있던 사람에게 수사기관이 범행 기회를 제공한 것은 함정수사가 아니라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