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7.11

세무판례

해외 투자회사를 통한 주식 양도 시 법인세 징수는 어떻게 될까?

복잡한 해외 투자 구조 속 법인세 징수, 법원의 판단은?

오늘은 해외 법인을 거쳐 국내 주식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법인세 징수 문제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복잡한 투자 구조 속에서 실질적인 소득 귀속자를 판단하고, 징수 처분의 적법성을 다투는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해태제과식품(이하 원고)은 해외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주식을 양도한 KCH에 대해 세무서(이하 피고)가 법인세를 부과한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는 처음에는 KCH의 주주 일부에게 소득이 귀속된다고 보아 원고에게 법인세를 징수했습니다(2007년 3월 6일자 징수처분). 이후 다른 주주에게 귀속된 소득에 대해서도 추가로 법인세를 징수했습니다(2008년 5월 14일자 징수처분). 원고는 두 징수처분 모두에 불복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두 건의 징수처분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 (하나의 처분으로 볼 수 있는지, 별개의 처분인지)
  2. 원천징수하는 법인세 소송에서 과세관청이 소득 수령자를 변경하여 주장할 수 있는가?

법원의 판단

  1. 두 건의 징수 처분은 별개의 처분이다. 법원은 두 건의 징수처분은 납세의무 단위가 다르므로 별개의 처분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후행 처분이 이전 처분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며, 각 처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원심은 이 부분을 잘못 판단하여 후행 처분만 다루었기에, 대법원은 파기환송했습니다.

  2. 소득 수령자 변경 주장은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법원은 원천징수되는 법인세의 경우, 징수처분 자체는 소득 지급 사실에 대한 이행 청구일 뿐 소득 수령자의 납세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소득 지급의 기초 사실이 동일하다면 소득 수령자를 변경하는 주장은 처분의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수령자 변경으로 인해 납세의무 단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닌지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 등의 정의
  • 구 법인세법(2005. 12. 31. 법률 제78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3조, 제98조: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 원천징수
  • 구 국세기본법(2007. 12. 31. 법률 제88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조 제2항 제1호, 제22조 제2항 제3호: 납세의무의 성립, 확정 시기
  • 구 국세징수법(2011. 4. 4. 법률 제1052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납세고지서 기재사항

결론

이 판례는 복잡한 해외 투자 구조에서 발생하는 법인세 징수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순차적 징수처분의 처리, 소득 수령자 변경 주장의 허용 범위 등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향후 유사한 분쟁 해결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해외 투자 관련 세무 문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외국법인의 국내 부동산 간접투자에 대한 세금, 어떻게 매겨질까?

외국 법인이 국내 자산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소득 중 어떤 것이 법인세 과세 대상인 '기타자산'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관련 법인세법 시행령 조항이 유효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시행령에서 기타자산의 범위를 정할 수 있도록 위임한 법률 규정이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시행령 조항이 유효하며 그에 따라 법인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외국법인#국내원천소득#기타자산#양도소득

세무판례

외국 법인의 국내 부동산 간접투자에 대한 세금, 어떻게 매겨질까?

외국법인이 국내 부동산을 많이 보유한 회사의 주식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법인세 과세는 법인세법 시행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즉, 소득세법 시행령 기준이 아니라 법인세법 시행령 기준이 적용됩니다.

#외국법인#국내 부동산#주식 양도소득#법인세

세무판례

외국 법인 합병 시 내국법인 주식 이전에 대한 과세 논란

외국 회사끼리 합병할 때, 합병되는 회사가 가지고 있던 한국 회사 주식을 합병 후 회사로 옮기면, 이것도 주식을 판 것처럼 세금을 내야 할까요? 대법원은 "네, 내야 합니다"라고 판결했습니다.

#외국법인 합병#내국법인 주식#주식 이전#과세

세무판례

세무서가 마음대로 세금을 거둘 수 있을까? 소득처분과 원천징수에 대한 이야기

회사가 직원 등에게 소득을 지급할 때 세금을 미리 떼는 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그런데 세무서가 회사에게 '이 사람에게 이만큼 소득이 발생했으니 세금 떼세요'라고 공식적으로 알려주지 않으면, 회사는 원천징수 의무가 없습니다. 세무서 내부적으로 소득 발생을 확인했더라도, 공식적인 통지가 없으면 회사는 세금을 뗄 의무가 없다는 뜻입니다.

#원천징수#소득금액변동통지#의무#기아인터트레이드

세무판례

외국인의 국내 주식 양도 소득세, 누가 내야 할까?

국내에 사업장이 없는 외국인이 국내 회사 주식을 팔아서 생긴 이익에 대해서는, 주식을 산 사람이 원천징수(소득세를 미리 떼어 납부하는 것)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만약 원천징수를 하지 않았더라도 세무서가 직접 외국인에게 소득세를 부과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외국인#주식 양도소득세#원천징수#세무서 부과 불가

세무판례

주식 매매, 양도소득인가? 배당소득인가? 이중과세는 안돼!

이 판례는 주식 매매의 형식보다는 실질을 따져 세금을 부과해야 하며, 동일한 소득에 대해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를 이중으로 부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주식매매#실질과세#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