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4.02.08

일반행정판례

해임된 사립학교 교수, 당연퇴직 후에도 소송 이길 수 있을까?

사립학교 교수로 재직 중 해임 처분을 받고, 그 처분에 불복하여 소청심사를 청구했지만 기각당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해임 처분과 관련된 형사 사건에서 유죄 판결을 받아 당연퇴직까지 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미 학교를 떠나게 된 교수는 더 이상 소송을 이어갈 필요가 있을까요? 대법원은 이런 경우에도 소송을 통해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사립대학교 교수가 학내 비리로 해임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 교수는 억울함을 호소하며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소청심사를 청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그 후 해임 사유와 관련된 형사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되어 당연퇴직까지 되었습니다. 이미 학교를 떠나게 된 교수는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미 당연퇴직하여 학교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요? 다시 말해, 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을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교수가 당연퇴직으로 학교에 복직할 수는 없지만, 해임 처분이 취소되면 해임 기간 동안의 보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교원지위법)**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할 때, 해임 처분이 부당하게 이루어졌다면 당연퇴직 후에도 그 부당함을 바로잡고 금전적인 손해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당연퇴직한 교원이라도 해임 처분의 부당함을 다투고 정당한 보수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교원의 신분 보장과 권리 구제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판결입니다.

참조조문: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1조, 제9조 제1항, 제10조, 제10조의2, 행정소송법 제12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교원 소청심사, 학교장도 소송 걸 수 있을까요? 🧐

교원 소청심사 결과에 학교장도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교원 소청심사#학교장 소송#소청심사 불복#대법원 판례

일반행정판례

파면에서 해임으로, 징계 변경되면 소청심사 결정은?

교사가 파면 처분을 받고 이에 불복하여 소청심사를 통해 파면처분이 취소되었는데, 학교 측에서 다시 해임 처분을 내린 경우, 기존 파면처분 취소 결정에 대한 소송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진다는 판례입니다.

#파면#해임#소청심사#소의 이익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원 해임,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사립학교 교원을 해임한 경우, 해임 처분 자체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고, 민사소송이나 교원소청심사위원회를 통한 구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사립학교#교원#해임#행정소송

민사판례

해고된 교수, 임용기간 만료 후에도 해임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대학교수가 부당하게 해임되었다가 임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임처분 자체는 무효가 되더라도 복직은 불가능하지만, 해임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은 여전히 존재한다.

#해임처분 무효확인#임용기간 만료#확인의 이익#임용결격사유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원 징계, 재심의 가능할까?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징계위원회의 징계 의결이 가볍다는 이유로 징계권자가 재심의를 요구할 수 없다. 징계위원회의 결정은 존중되어야 하며, 징계권자는 그 결정에 따라 징계 처분을 해야 한다.

#사립학교#교원#징계#재심의

일반행정판례

강요된 사직, 재임용 탈락과 같은 걸까? - 대학교원 재임용 분쟁

대학교가 재임용 심사에서 탈락할 것이 예상되는 교수에게 사직을 강요하여 의원면직 처리한 경우, 이는 실질적으로 재임용 탈락과 같으므로, 교수는 의원면직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 없이도 구제를 위한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강요된 사직#재임용 탈락#재심사#대학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