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07.29

일반행정판례

허가 신청 중 법이 바뀌면? 😮 변경된 법 적용해도 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허가 신청 중 법이 바뀌었을 때, 변경된 법을 적용해도 되는지에 대한 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사업이나 개발 등을 위해 인허가를 신청했는데, 처리가 지연되는 동안 관련 법규가 바뀌어 곤란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런 상황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고, 법 적용에 대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신라개발이라는 회사가 영암군에 토석 채취를 위한 개발행위허가를 신청했습니다. 영암군은 처음에는 도로와의 거리 문제로 허가를 거부했지만, 행정심판 결과 이는 잘못된 판단이었습니다. 그러나 신라개발이 다시 허가를 신청했을 때, 영암군은 이번에는 채석지 면적이 기준에 미달하고 주변 환경 보호 필요성을 이유로 다시 허가를 거부했습니다. 문제는 이 새로운 거부 사유가 처음 신청 이후 변경된 법령에 근거했다는 점입니다.

핵심 쟁점

  • 허가 신청 후, 허가 전에 관련 법령이 개정된 경우, 변경된 법령을 적용한 불허가 처분은 위법한가?
  • 채석 허가 기준 관련 법령이 개정되었고 경과 규정이 없는 경우, 어떤 법령을 적용해야 하는가?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칙적으로 행정행위는 처분 당시 시행 중인 법령에 따라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즉, 허가 신청 후 법이 바뀌었다면, 변경된 법령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행정청이 정당한 이유 없이 허가 처리를 지연시켜 법이 바뀌도록 한 경우라면 변경된 법령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영암군이 정당한 이유 없이 허가 처리를 지연시켰다고 볼 수 없었기에, 변경된 산림법 시행규칙([별표 8의4] 제4호)을 적용한 불허가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신라개발의 토석 채취 허가 신청은 변경된 법령에 따라 거부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법원은 개정된 법령에 경과규정이 없는 한, 처분 당시 시행되는 법령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습니다. 개정 전 법령에 대한 신뢰가 개정 법령 적용의 공익보다 크다고 인정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개정 법령의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산림의 난개발 방지를 위한 법 개정의 공익적 목적이 신라개발의 신뢰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행정소송법 제1조 (행정처분일반)
  • 행정절차법 제4조 제2항
  • 구 산림법(2002. 12. 30. 법률 제68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0조의2 (현행 산지관리법 제25조, 제28조 참조)
  • 구 산림법시행규칙(2002. 11. 14. 농림부령 제14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5조의5 (현행 산지관리법시행령 제36조 참조)
  • 대법원 1998. 3. 27. 선고 96누19772 판결
  • 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두274 판결
  • 대법원 2002. 6. 25. 선고 2001두5125 판결

결론

허가 신청 중 법이 바뀌면 원칙적으로 변경된 법이 적용됩니다. 행정청의 부당한 지연이 있거나, 개정 전 법령에 대한 신뢰가 공익보다 크다고 인정되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변경된 법에 따라 허가 여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허가 신청 시에는 관련 법령의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옛날 법 vs 새 법, 토지 허가 신청은 어떤 법으로?

법 개정 전에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신청을 했지만, 법이 바뀐 후에는 새로운 법을 따라야 하며, 행정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처리를 지연하지 않았다면 신청을 반려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국토계획법#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신청#반려처분

일반행정판례

허가 신청 후 법 바뀌면? 새 법 적용! (feat. 경주보문관광단지)

허가나 인가를 신청한 후, 허가가 나기 전에 관련 법이 바뀌면 바뀐 법을 따라야 한다. 단, 바뀐 법에 이전 신청 건은 옛날 법으로 처리한다는 특별한 규정이 있거나, 담당 공무원이 고의로 허가를 늦게 내준 경우는 예외다. 경주 보문관광단지는 이전 관광진흥법에서 정한 종합휴양업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허가 신청#법 개정#신법 적용#예외

일반행정판례

동물화장시설 허가, 법 개정되면 어떻게 될까?

개발행위허가 신청 후 허가 전에 관련 조례가 개정되어 허가 기준이 강화된 경우, 원칙적으로 개정된 조례를 적용해야 하며, 신청인의 신뢰 보호보다 공익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개정 전 조례를 적용할 수 있다.

#개발행위허가#법령개정#신뢰보호#공익

일반행정판례

산림 내 토석 채취, 허가는 언제 거부될 수 있을까?

산림에서 토석을 채취하려면 허가가 필요한데, 법으로 정해진 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자연환경 보호 등 공익적인 이유로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이때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는지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토석채취허가#공익#환경훼손#주민피해

일반행정판례

낡은 법, 새로운 법 사이에서: 내 건축허가는 어떤 법을 따라야 할까?

새로운 국토계획법 시행 전에 건축허가가 의제되지 않는 사업승인을 받았다면, 새로운 법이 아니라 이전 법을 적용하여 건축허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국토계획법#사업승인#건축허가#이전 법 적용

일반행정판례

호텔 지하 투전기업소 허가, 법 개정되면 어떻게 될까?

호텔 지하에 투전기업소를 설치하려던 사업자가 법 개정 전에 허가 신청을 했지만, 법 개정 후 강화된 기준에 따라 불허가 처분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법 개정 전에 신청했다 하더라도 정당한 사유 없이 행정청이 허가 처리를 지연시킨 것이 아니라면 새로운 법에 따라 불허가 처분을 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호텔 사업계획 승인 시 투전기업소 설치 계획이 포함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투전기업소 영업 허가를 약속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불허가처분#법개정#소급적용#신뢰보호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