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4.09

형사판례

회사 대표, 무허가 건축으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회사 이름으로 건물을 짓다가 허가를 받지 않은 것이 드러나면 누가 처벌받게 될까요? 단순히 회사 직원이 실수한 것인지, 아니면 회사 대표도 책임을 져야 할지 궁금하실 겁니다. 오늘은 무허가 건축과 관련된 법적인 책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회사 대표의 책임, 어디까지일까?

건축법 제78조 제1항은 허가 없이 건물을 지으면 건축주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건축주가 회사라면 그 대표자가 처벌 대상이 됩니다. 그렇다면 회사 대표가 직접 건축에 관여하지 않았더라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회사 대표를 처벌하려면 대표가 직접 무허가 건축을 지시했거나, 직원의 무허가 건축 사실을 알면서 묵인 또는 방치했어야 합니다. 단순히 직원 관리를 소홀히 한 것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습니다. 즉, 대표가 무허가 건축에 대해 적극적인 의지 또는 묵인이 있어야 처벌이 가능합니다.

철골 구조물도 건축물에 포함될까?

자동차 운전학원 사무실을 짓기 위해 허가 없이 철골 구조물을 세웠다면 이것도 건축법 위반일까요? 네, 그렇습니다. 대법원은 바닥면적 100평, 높이 5미터 정도의 철골 구조물도 건축법상 건물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1977. 12. 13. 선고 77도1717 판결, 1983. 1. 18. 선고 81도1364 판결). 따라서 허가 없이 이러한 구조물을 세우는 것도 건축법 위반입니다.

회사 직원은 처벌 대상이 아닐까?

만약 회사 대표가 아닌 직원이 허가 없이 건축했다면 그 직원은 처벌받을까요? 건축법 제78조 제1항은 건축주(회사인 경우 대표자)만 처벌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직원이 단독으로 무허가 건축을 했더라도, 대표자와 공모한 경우가 아니라면 건축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무허가 건축에 대한 책임은 원칙적으로 건축주, 즉 회사의 대표에게 있습니다. 하지만 대표가 무허가 건축을 지시하거나 알면서 묵인한 경우에만 처벌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관리 소홀은 처벌 대상이 아닙니다. 또한, 철골 구조물도 건축물에 해당하며, 회사 직원은 대표와 공모하지 않은 이상 건축법 위반으로 처벌받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무허가 건축과 관련된 법적 책임에 대해 조금 더 명확히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건축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임직원이 무허가 공사를 했다면 처벌받을까요?

회사(법인)의 대표자가 아닌 임원이 허가 없이 건축물의 설계를 변경하여 공사를 진행한 경우, 그 임원 개인을 건축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는가? (결론: 대표자와 공범이 아닌 이상 처벌 불가)

#건축법 위반#임원 처벌#법인 대표자#무허가 건축

형사판례

회사 건물 함부로 용도변경하면 안돼요!

회사 소유 건물을 허가 없이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건축법 위반으로 회사 대표와 회사 모두 처벌받을 수 있다. 건물의 실제 사용 용도가 중요하며, 형태를 바꾸지 않고 임대만 해도 용도 변경으로 간주된다.

#건축법위반#용도변경#무허가#대표이사처벌

형사판례

도시계획구역 내 무허가 건축, 누가 처벌받을까? 허가받은 내용과 다른 건축도 불법일까?

도시계획구역 안에서 허가 없이 건물을 짓거나, 허가받은 내용과 다르게 짓는 것은 건축주뿐 아니라 실제 건축행위를 한 사람도 처벌받을 수 있다.

#도시계획구역#무허가 건축#처벌#건축주

민사판례

회사 대표도 건물 공사 피해 책임져야 할까?

회사 대표이사는 회사 업무를 수행하면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회사와 함께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단순히 회사가 책임진다는 것 뿐 아니라, 대표이사 개인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판례에서는 건물 신축공사 중 인접 건물에 피해를 준 경우, 회사 대표이사의 과실 여부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책임을 부정한 원심 판결을 뒤 overturn했다.

#대표이사 손해배상책임#건물 신축공사#과실#민법 750조

형사판례

건축 허가, 몰랐다고 면죄부 될까요?

지구단위계획구역 안에서 건축허가 없이 집을 지은 피고인이 "건축허가가 필요한지 몰랐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단순히 법을 몰랐다는 주장일 뿐"이라며 유죄 취지로 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건축허가#무허가 건축#법률 무지#고의

형사판례

아파트 관리단, 건물 관리 잘못하면 대표가 책임져야 할까?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처럼 법인격이 없는 단체가 건물 관리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 그 단체의 대표자가 법적 책임을 진다.

#건물관리책임#법인격 없는 단체#대표자 책임#건축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