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8.29

민사판례

회사 대표의 권한 범위와 그 한계: 대표권 제한, 남용 그리고 회사의 책임

주식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대표이사의 권한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이사의 권한은 어디까지이고, 만약 대표이사가 권한을 넘어선 행동을 하거나 남용한다면 회사는 어떤 책임을 져야 할까요? 오늘은 대표이사의 대표권 제한, 남용, 그리고 회사의 목적 범위 내 행위에 대한 판례를 통해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해보겠습니다.

대표이사의 권한은 무한정일까? 대표권 제한

대표이사는 원칙적으로 회사를 대표하여 모든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상법 제209조). 하지만 회사 내부적으로 정관이나 이사회 결의를 통해 대표이사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금액 이상의 계약은 이사회 승인을 받도록 제한하는 것이죠.

만약 대표이사가 이러한 내부적인 제한을 어기고 계약을 체결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계약은 회사에 대해 효력이 없을까요? 흥미롭게도, 만약 거래 상대방이 대표권 제한 사실을 몰랐다면, 그 계약은 유효합니다 (상법 제389조 제3항). 회사는 대표이사의 권한 제한을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죠.

대표이사의 권한 남용: 사익을 위한 행동

대표이사가 자신의 이익이나 제3자의 이익을 위해 회사의 권한을 남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죠. 이런 경우에도 대표이사의 행위는 일단 유효합니다. 하지만 거래 상대방이 대표이사의 부정한 의도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그 행위는 무효가 됩니다 (민법 제107조 제1항).

회사 목적 범위 내의 행위: 어디까지 인정될까?

회사는 정관에 명시된 사업 목적 범위 내에서만 활동해야 합니다. 대표이사의 행위 역시 회사의 목적 범위 내에 있어야 효력이 있습니다. 본문의 판례는 '부동산 임대 및 매매업'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의 대표이사가 기존 분양자들에 대한 예치금 반환 채무를 인수하고 분양 담당 직원에게 수당을 지급하기로 약정한 행위가 회사의 목적 범위 내 행위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들이 부동산 매매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행위로 판단했습니다.

판례 정보

  • 대법원 1993. 6. 25. 선고 93다13391 판결
  •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다39253 판결
  • 대법원 1995. 4. 11. 선고 94다33903 판결
  • 대법원 1996. 1. 26. 선고 94다42754 판결
  • 대법원 1997. 6. 13. 선고 96다48282 판결
  • 대법원 1988. 8. 9. 선고 86다카1858 판결

참고 법률

  • 상법 제209조 (대표이사의 대표권)
  • 상법 제389조 제3항 (표현대표이사의 행위의 효력)
  • 민법 제107조 제1항 (진의 아닌 의사표시)

이처럼 대표이사의 권한 행사와 관련된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법적 쟁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대표이사의 권한 남용, 회사는 책임을 져야 할까?

회사 대표이사가 사적인 이익을 위해 권한을 남용하더라도 그 행위는 일단 회사의 행위로 인정됩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대표이사의 남용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회사는 그 행위의 효력을 부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권남용#회사책임#신의칙#상대방인지

형사판례

1인 주주 회사에서 대표이사의 권한은 어디까지일까?

1인 주주가 회사 운영을 실질적으로 통제하더라도, 적법하게 선임된 대표이사는 1인 주주의 위임이나 승낙 없이도 회사를 대표할 권한을 가지며, 이러한 권한 행사는 문서위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

#1인 주주 회사#대표이사 권한#문서위조죄#성립 불인정

민사판례

회사 대표의 행위와 회사 책임: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법 이야기

회사 직원이 마치 대표이사처럼 행동하여 회사와 계약을 맺었을 때, 회사는 그 계약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까요? 이 판례는 그렇다고 하면서도, 계약 상대방이 그 직원에게 대표 권한이 없다는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어야 했다면 회사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계약 상대방의 "선의"와 "중대한 과실 없음"이 중요한 쟁점입니다.

#표현대표이사#회사책임#선의#중대한 과실

민사판례

회사 대표의 월권행위, 언제 무효일까?

대표이사가 회사 내부 규정을 어겨서 계약을 했더라도, 상대방이 몰랐다면 계약은 유효합니다. 하지만, 대표이사가 회사의 이익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위해 계약을 했고, 상대방도 이를 알았다면 그 계약은 무효입니다. 즉, 대표권 제한 위반과 대표권 남용은 별개의 문제이며, 둘 다 고려해야 합니다.

#대표권 제한#대표권 남용#표현대리#무효

상담사례

사장님 맘대로 회사 땅 팔았다면? - 대표이사의 권한 남용

대표이사가 사익을 위해 회사 부동산을 헐값에 매각했을 경우, 상대방이 대표이사의 부정한 의도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회사는 계약을 무효로 할 수 있다.

#대표이사 권한남용#부동산 매매#계약 무효#상대방 선의 여부

민사판례

대표 없는 대표? 회사는 책임져야 할까?

회사의 전무가 대표이사 명의로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했을 때, 회사가 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었음을 입증해야 한다. 단순히 회사 내부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다.

#표현대표이사#연대보증#대표권남용#상대방 고의/중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