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7.28

민사판례

회생절차와 강제집행, 그리고 계약 해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복잡한 법률 분쟁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사건은 회사 회생절차, 강제집행, 계약 해지 등 다양한 법률 쟁점이 얽혀있는데요,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주식회사 바이오빌(채무자)과 주식회사 이야모바일(채권자) 사이의 계약 분쟁입니다. 채권자인 이야모바일은 채무자 바이오빌을 상대로 공정증서를 근거로 돈을 받아내기 위한 강제집행을 진행했습니다. 바이오빌은 이에 대해 집행정지를 신청했지만, 법원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강제집행을 진행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바이오빌은 회생절차에 들어갔고, 관리인은 문제가 된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이후 회생절차는 폐지되었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강제집행의 효력과 계약 해지의 효력을 둘러싼 법적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 1. 집행정지와 강제집행

바이오빌은 집행정지 신청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강제집행이 진행된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집행정지 서류가 제출되었더라도 집행기관이 집행을 강행하고, 이에 대해 이의신청이나 즉시항고 등의 불복 절차 없이 강제집행이 완료되었다면, 그 효력을 뒤집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집행법 제15조, 제16조, 제49조, 대법원 1992. 9. 14. 선고 92다28020 판결, 대법원 1995. 2. 16. 자 94마1871 결정) 즉, 바이오빌 측이 강제집행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 2. 계약 해지의 효력

바이오빌의 관리인은 회생절차 중 채무자회생법 제119조 제1항에 따라 문제의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이후 회생절차가 폐지되었는데, 대법원은 회생절차 폐지 결정이 확정되더라도 관리인이 채무자회생법 제119조 제1항에 따라 한 계약 해지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제286조, 제288조 제1항, 제4항, 대법원 2022. 6. 16. 선고 2022다211850 판결) 즉, 회생절차가 폐지되었더라도 계약 해지 자체는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원심은 이 부분을 잘못 판단했기 때문에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했습니다.

핵심 정리

  • 집행정지 신청 후에도 강제집행이 진행되었다면, 즉시항고 등 불복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강제집행의 효력을 뒤집기 어렵습니다.
  • 회생절차 중 관리인이 채무자회생법에 따라 계약을 해지한 경우, 회생절차 폐지 여부와 관계없이 해지의 효력은 유지됩니다.

이번 판결은 회생절차와 강제집행, 계약 해지 등에 관한 중요한 법리를 담고 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생절차 폐지 후에도 관리인의 계약 해제는 유효할까?

회생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의 관리인이 계약을 해제했는데, 그 후에 회생절차가 폐지되었다면 해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회생절차 폐지는 이전에 관리인이 한 행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회생절차 폐지#관리인#계약해제#효력 유지

민사판례

회생절차 폐지 후 파산, 그리고 계약해지에 관하여

회생절차가 폐지되고 파산절차로 이행되면, 회생절차 진행 중이던 소송은 파산관재인이 이어받아 진행한다. 또한, 계속적인 거래 계약에서 해지 조항이 있더라도, 계약 당사자들이 이미 최종 합의를 통해 해당 계약의 계속적인 채권·채무 관계를 정리했다면 그 이후에는 해지 조항을 사용할 수 없다.

#회생절차 폐지#파산절차 이행#소송 수계#계속적 계약 해지

민사판례

회생절차 끝나도 옛날 문서로 빚 받아낼 수 없어?

회생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회생계획 인가 전에 받아둔 판결문 등 집행권원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회생계획이 인가된 후에는 그 집행권원으로 돈을 강제로 받아낼 수 없습니다. 회생계획에 따라 정해진 내용대로만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생계획#강제집행#집행권원#회생절차

민사판례

회생절차 개시와 지급명령 확정 여부

회사가 부도 직전에 받은 지급명령에 대해, 회생절차가 시작된 후에는 그 지급명령에 이의를 제기하는 소송(청구이의의 소)을 제기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회생절차#지급명령#청구이의의 소#소송중단

민사판례

회생절차 중 회사의 주식매수청구권 계약 해제 가능성

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 회생절차 개시 전에 주주가 회사의 영업양도 등에 반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했고 그에 따른 주식매매계약이 완전히 이행되지 않은 경우, 회사의 관리인은 해당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회사의 회생을 돕기 위한 조치이며, 계약의 일부만 이행되지 않았더라도 회사 측의 귀책사유가 아니면 전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후 회생절차가 폐지되더라도 이 해제의 효력은 유지된다.

#회생절차#주식매매계약#해제#주식매수청구권

민사판례

회생절차와 운송계약, 알쏭달쏭 쟁점 풀이!

회사 회생절차 진행 중에 회생회사가 계약을 이행하기로 결정하면 상대방의 채권은 공익채권이 되며, 특정 조건의 해상운송계약에서는 운송회사와 수입업자가 계약 당사자가 된다는 판결.

#회생절차#쌍무계약#공익채권#운송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