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결의무효확인등

사건번호:

2000다36118

선고일자:

200010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원래 쌍무계약에서 인정되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함에 있어서는 양 채무가 동일한 법률요건으로부터 생겨서 공평의 관점에서 보아 견련적으로 이행시킴이 마땅한 경우라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53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10. 9. 선고 92다25656 판결(공1992, 3116), 대법원 1997. 6. 27. 선고 97다3828 판결(공1997하, 233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6. 9. 선고 98나45 11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2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당초 소외 고당온천개발 주식회사(이하 '소외 회사'라고 한다)의 이사 겸 주주의 자격으로 소외 회사와 피고 사이의 이 사건 양도계약의 무효확인을 구하다가, 원심에 이르러 이 사건 금원지급청구를 예비적으로 추가하면서, 그 청구원인으로, "피고가 1996. 7. 30. 원고에게, 소외 회사에 대한 권리 일체를 포기하는 대가로 원고에게 금 55,000,000원을 지급하기로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작성·교부해 주었으니 그 각서에 의한 약정에 기하여 피고에게 그 약정금 중 아직 지급받지 못한 금 45,00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한다."는 취지로 주장하고 있음을 넉넉히 알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사건 금원지급청구에서 원고는 위 각서에 의한 금원지급약정이 유효하게 존속하고 있음을 그 주장의 전제로 하고 있음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그 주장을 받아들여 이 사건 금원지급청구를 인용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석명권 불행사나 그로 인한 심리미진, 당사자처분권주의 및 변론주의 위반, 이유불비 또는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이 사건 금원지급청구에 관한 원고의 주장 속에 위 각서에 의한 금원지급약정의 무효를 스스로 자인하는 취지가 포함되어 있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원고의 주장 취지를 오해한 것에 불과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그리고 피고는 이 사건 양도계약 무효확인청구에서는 물론이고 금원지급청구에서도 이 사건 양도계약이 계속 유효하다고 주장하여 왔을 뿐 그 무효나 실효를 주장한 바는 없으므로 원심이 이 사건 금원지급청구의 당부를 판단함에 앞서 이 사건 양도계약의 유효 여부를 먼저 확정짓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그것을 가지고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2. 제3점에 대하여 원래 쌍무계약에서 인정되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함에 있어서는 양 채무가 동일한 법률요건으로부터 생겨서 공평의 관점에서 보아 견련적으로 이행시킴이 마땅한 경우라야 할 것이다(대법원 1992. 10. 9. 선고 92다25656 판결, 1997. 6. 27. 선고 97다3828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의 원고에 대한 이 사건 금원지급의무와 소외 회사의 피고에 대한 지하수 개발·이용 신고에 관한 신고인명의변경절차 이행의무는 그 각 당사자와 의무 이행기가 서로 상이하고 이행상 견련성을 인정할 만한 근거도 박약하므로 양자가 동시에 이행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동시이행의 항변을 배척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동시이행의 항변권에 관한 법리오해나 심리미진, 판단유탈,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이강국(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돈 안 주고 네 것도 못 가져가! ... 근데 항상 그럴 수 있을까요? (동시이행의 항변권과 권리남용)

상대방의 채무 이행을 전제로 자신의 채무 이행을 거부할 수 있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정당한 권리지만, 이를 악용하여 자신의 의무를 부당하게 회피하는 경우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동시이행의 항변권#권리남용#채무불이행#계약

민사판례

따로따로 약속했으면, 같이 이행해야 할 의무 없어요! (동시이행 항변권)

서로 다른 계약으로 생긴 채무는 특별한 약정이 없다면 동시에 이행해야 할 의무가 없다.

#동시이행#별개의 약정#특약#채무

민사판례

공동투자 약정과 동시이행 항변권

공동 투자 약정에 따라 A가 B의 대출금을 대신 갚아준 경우, A가 B에게 구상금을 청구할 때 B는 A에게 약정된 지분을 이전해줘야 할 의무가 있는데, 이 두 의무는 동시에 이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공동투자#구상금#지분이전#동시이행

상담사례

건물 하자, 공사비 줘야 할까요? 말까요? (동시이행 항변권)

건물에 하자가 있을 경우, 하자 보수 금액에 해당하는 공사비 지급만 거부할 수 있고, 초과 금액은 지급해야 한다 (동시이행 항변권).

#건물 하자#공사비#동시이행 항변권#하자보수

민사판례

돈 줘야 할 때 안 줬다고 무조건 연체는 아닙니다!

부동산 매매에서 잔금 지급일이 지났지만, 판매자가 소유권 이전 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구매자는 잔금은 물론, 기존에 밀린 중도금에 대한 지연이자도 낼 필요가 없다.

#부동산#매매#잔금#소유권이전등기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시 양도소득세 납부 약정과 소유권 이전 등기의 동시이행 관계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매수인이 양도소득세를 부담하기로 약정한 경우, 매수인의 양도소득세 납부 의무와 매도인의 소유권이전등기 의무가 동시이행 관계인지 여부는 구체적인 계약 내용과 이행 방법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단순히 매수인이 양도소득세를 부담하기로 약정했다는 사실만으로 동시이행 관계를 부정해서는 안 된다.

#부동산 매매#양도소득세 부담 약정#소유권이전등기#동시이행 항변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