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부존재확인

사건번호:

2000다67020

선고일자:

200103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보험약관상 면책사유인 '피보험자의 고의에 의한 사고'에서의 '고의'의 의미와 그 입증방법 [2] 출발하려는 승용차 보닛 위에 사람이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승용차를 지그재그로 운행하여 도로에 떨어뜨려 상해를 입게 한 경우, 운전자에게 상해 발생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자동차보험약관상 면책사유인 '피보험자의 고의에 의한 사고'에서의 '고의'라 함은 자신의 행위에 의하여 일정한 결과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알면서 이를 행하는 심리 상태를 말하고, 여기에는 확정적 고의는 물론 미필적 고의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며, 고의와 같은 내심의 의사는 이를 인정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사물의 성질상 고의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간접사실을 증명하는 방법에 의하여 입증할 수밖에 없고, 무엇이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간접사실에 해당할 것인가는 사실관계의 연결상태를 논리와 경험칙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2] 출발하려는 승용차 보닛 위에 사람이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승용차를 지그재그로 운행하여 도로에 떨어뜨려 상해를 입게 한 경우, 운전자에게 상해 발생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상법 제659조 제1항 ,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3. 8. 선고 90다16771 판결(공1991, 1157), 대법원 1997. 9. 30. 선고 97다24276 판결(공1997하, 328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전재중 외 1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10. 27. 선고 2000나12206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사고에 적용될 개인용자동차보험계약 보통약관의 규정(대인배상 Ⅰ의 3의 1항 및 대인배상 Ⅱ의 11의 1항)에 의하면 보험계약자 겸 피보험자인 피고의 고의로 인한 손해는 이를 보상하지 아니하기로 되어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나아가 사고경위에 관하여 피고가 술에 취한 상태로 티뷰론 승용차를 운행하던 중 판시 제1차 사고를 내고 도주하다가 정지신호에 따라 정차하고 있을 때 접촉사고를 당한 택시 운전자인 소외인이 추격하여 와서 승용차 앞을 가로막고 있던 중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신호로 바뀌자 피고는 위 승용차를 2-3m 가량 후진하였고 소외인이 이에 놀라 승용차의 앞 유리창의 와이퍼를 붙잡고 보닛 위에 엎드려 매달리게 되었는데 피고는 그 상태에서 승용차를 지그재그로 운행하는 바람에 소외인이 도로로 떨어지면서 승용차 뒷바퀴로 충격당하여 판시 상해를 입게 된 제2차 사고를 발생하게 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사고의 전후 경위 및 피고의 행위와 운전의 경과 등에 비추어 보면 제2차 사고 당시 피고는 소외인이 보닛 위에 엎드려 매달려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는 보이나, 제2차 사고를 피고의 고의 내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사고라고 하기 위하여는 그 같은 인식만으로는 부족하고 나아가 소외인을 승용차에서 떨어뜨려 상해를 입게 할 것을 의욕하거나 그러한 결과발생을 용인하였어야 할 것인데 이 점을 인정하기에 족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제2차 사고로 인한 보험금채무의 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수긍하기 어렵다. 자동차보험의 약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의라 함은 자신의 행위에 의하여 일정한 결과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알면서 이를 행하는 심리 상태를 말하고(대법원 1997. 9. 30. 선고 97다24276 판결 참조), 여기에는 확정적 고의는 물론 미필적 고의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1. 3. 8. 선고 90다16771 판결 참조). 그리고 고의와 같은 내심의 의사는 이를 인정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사물의 성질상 고의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간접사실을 증명하는 방법에 의하여 입증할 수밖에 없고, 무엇이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간접사실에 해당할 것인가는 사실관계의 연결상태를 논리와 경험칙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더라도, 당시 피고는 혈중 알콜농도 0.11%의 술에 취한 상태이었지만 제1차 사고를 내고 도주하다가 공덕동 로터리 부근에서 차량정지신호에 걸리자 정상적으로 정차를 하였고 소외인이 추격하여 와서 승용차의 앞을 가로막고 있던중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신호로 바뀌자 그에 따라 승용차를 출발시키기 위하여 소외인을 피하여 2-3m 가량 후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외인이 출발하려는 승용차 보닛 위로 올라가서 그 위에 엎드려 앞 유리창 와이퍼를 붙잡고 매달리게 되자 승용차를 지그재그로 운전하는 바람에 소외인이 도로에 떨어지면서 승용차 뒷바퀴로 충격당함으로써 제2차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이므로, 이에 의하면 피고가 소외인을 일부러 승용차에서 떨어뜨려 상해를 입게 할 것을 의욕하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도주하는데만 급급하여 그러한 결과발생을 용인하였거나 자기의 행위로 인하여 상해가 발생하리라는 점을 예견하였다고 보이므로 최소한 피고에게 당시 미필적 고의는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차 사고가 피고의 고의 내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사고라고 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에는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고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이강국(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차 보닛 위에 사람이?! 당황스러운 사고와 보험금, 제대로 알아보자!

접촉사고 후 도주차량에 매달린 사람이 지그재그 운전으로 떨어져 다친 사고에서, 운전자의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어 상해 보험금 지급은 어려우나, 사망사고의 경우는 지급될 수도 있다.

#접촉사고#도주#보닛#고의

민사판례

보닛 위 사람을 태운 채 운전? 보험금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술에 취해 자동차 보닛 위에 올라탄 사람을 태운 채 운전자가 급정거하여 상해를 입힌 경우, 운전자에게 상해 결과 발생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어 자동차보험의 면책사유에 해당한다는 판결.

#보닛#급정거#상해#미필적 고의

민사판례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음주운전 중 보닛 위 사람 떨어뜨려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

술에 취한 운전자가 차 보닛에 사람이 매달린 채로 지그재그 운전을 하다가 그 사람을 떨어뜨려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운전자가 사망이라는 결과까지 예상하고 의도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자동차보험의 면책약관(고의로 인한 사고는 보상하지 않음)을 적용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즉, 보험회사는 보상해야 한다.

#차량보닛#사망사고#음주운전#고의성

민사판례

술 한잔 더 하자며 보닛에 올라탄 친구, 차 움직이다 사고 발생! 보험처리 될까?

술에 취한 동료가 차 보닛에 올라타 장난을 치자, 운전자가 차를 움직여 동료를 떨어뜨렸는데, 동료가 중상을 입은 사고에서 운전자의 고의성을 인정하지 않아 자동차보험 적용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상해를 입힐 의도는 있었을지라도, 중상해 결과까지 예상하고 한 행동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자동차보험#고의성#중상해#장난

민사판례

고의로 교통사고를 냈을 때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까? - 보복운전과 미필적 고의

다른 차량을 위협하려고 급정거를 하다가 3중 추돌사고를 낸 운전자에게 '고의'로 사고를 냈다고 볼 수 없어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고의를 인정하기 부족하며, 사고 발생을 적극적으로 용인하는 심리 상태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교통사고#고의#면책#보험금

상담사례

욱하는 순간, 내 인생 빨간불?! 고의사고와 자동차보험

홧김에 차로 사람을 치는 고의사고는 자동차보험 적용이 안 되고 특수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으므로 운전 중 시비가 붙어도 침착하게 대응해야 한다.

#고의사고#자동차보험#보상불가#고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