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법위반

사건번호:

2000도1405

선고일자:

2000061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손해사정인이 금품을 받거나 보수를 받기로 하고 교통사고의 피해자측과 가해자가 가입한 자동차보험회사 등과 사이에서 이루어질 손해배상액의 결정에 관하여 중재나 화해를 하는 것이 손해사정인의 업무범위에 속하는 손해사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손해사정인이 그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보험회사의 요청에 따라 손해사정보고서의 기재 내용에 관하여 그 근거를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관한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금품을 받거나 보수를 받기로 하고 교통사고의 피해자측과 가해자가 가입한 자동차보험회사 등과 사이에서 이루어질 손해배상액의 결정에 관하여 중재나 화해를 하는 것은 손해사정인의 업무범위에 속하는 손해사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이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보험업법 제204조의4, 구 변호사법(2000. 1. 28. 법률 제6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90조 제2호 (현행 제109조 제1호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 5. 10. 선고 94도563 판결(공1994상, 1748)

판례내용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0. 3. 23. 선고 99노860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손해사정인의 업무범위에 관한 점에 대하여 손해사정인은 손해발생사실의 확인, 보험약관 및 관계 법규 적용의 적정 여부 판단, 손해액 및 보험금의 사정과 기타 손해사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그 업무로 하고 있는바(보험업법 제204조의4 참조), 손해사정인이 그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보험회사의 요청에 따라 손해사정보고서의 기재 내용에 관하여 그 근거를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관한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금품을 받거나 보수를 받기로 하고 교통사고의 피해자측과 가해자가 가입한 자동차보험회사 등과 사이에서 이루어질 손해배상액의 결정에 관하여 중재나 화해를 하는 것은 위와 같은 손해사정인의 업무범위에 속하는 손해사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이라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4. 5. 10. 선고 94도563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위와 같은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제1심의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변호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공소외인과 공모하여, 손해사정업무를 빙자하여 교통사고 피해자와 보험회사간의 화해에 관여하여 34회에 걸쳐 그 대가로 피해자가 보험회사로부터 받은 합의금의 10% 정도에 해당하는 합계 금 48,550,000원을 수수료로 지급받고, 14회에 걸쳐 합의금의 약 10%를 수수료로 교부받기로 약속하고 합의절차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일반의 법률사건에 관하여 화해에 관한 법률사무를 취급한 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였거나 보험업법 제204조의4 소정의 손해사정인의 업무범위에 관한 법리 및 변호사법 제90조 제2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이 부분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추징에 관한 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와 원심이 유지하고 있는 제1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제1심의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공소외인과 공모하여 의뢰인으로부터 받은 수수료 합계 금 48,550,000원 중 80%를 취득하였다고 인정하여, 금 38,840,000원을 추징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였거나 추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이 부분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김형선 이용훈(주심) 조무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손해사정인의 합의 중재, 변호사법 위반인가요?

손해사정인이 교통사고 피해자를 대신하여 보험회사와 합의를 주도하는 것은 변호사법 위반이다. 손해 사정 업무 외에 화해나 중재 등 법률 사무를 하는 것은 변호사만 할 수 있다.

#손해사정인#화해중재#변호사법위반#합의

형사판례

손해사정인의 합의 관여, 변호사법 위반인가?

손해사정인이 교통사고 피해자를 대신하여 보험회사와 합의를 중재하고 수수료를 받는 행위는 변호사법 위반이다.

#손해사정인#합의중재#변호사법위반#수수료

상담사례

손해사정사, 보험약관 전체를 다 볼 수 있을까? 🤔

손해사정사는 보험사고와 관련된 보험약관을 검토하여 손해액과 보험금을 산정하지만, 보험금 산정과 무관한 약관 전체를 열람할 권한은 없다.

#손해사정사#보험약관#손해액#보험금

형사판례

손해사정사의 환자 소개와 보험금 청구 대리, 합법일까 불법일까?

손해사정사가 진단서 발급 편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환자에게 특정 의료기관을 알선하고 그 대가를 받는 행위는 의료법 위반이 아니며, 보험금 청구를 대리하는 행위는 변호사법 위반이다.

#손해사정사#환자알선#보험금청구대리#의료법위반(X)

형사판례

손해사정업 등록과 관련된 오해, 법원이 바로잡다!

등록된 손해사정법인의 지점 책임자가, 비록 지점 운영 방식이 불투명하더라도, 손해사정인 자격을 가지고 있다면 무등록 손해사정업으로 처벌할 수 없다.

#손해사정법인#지점책임자#무등록손해사정업#손해사정인자격

민사판례

교통사고 합의금과 보험사 보상 범위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교통사고 가해자 측이 형사 합의 또는 위로 목적으로 피해자에게 지급한 돈도 손해배상금으로 인정되어 자동차보험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판결.

#교통사고#합의금#위로금#보험처리